|
CLA라는 약어로 더 잘 알려진 공액리놀레산은 체지방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다이어트 건강기능식품으로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 현재도 CLA는 가르시니아캄보지아추출물, 녹차추출물 등과 함께 가장 많이 판매되는 다이어트용 건강기능식품 중 하나다.
CLA는 체지방이 형성되는 과정에 관여하여 지방의 합성과 저장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지방 분해를 촉진하는 역할도 할 수 있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쉽게 말해 지방 저장 창고를 잠가 지방이 저장되지 못하게 하는 한편, 이미 저장된 지방을 꺼내 태우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고혈압 약을 복용 중이라면 CLA 섭취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CLA가 고혈압약과 상호작용을 일으켜 혈압을 너무 많이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이다. 예기치 못한 저혈압을 유발할 수 있는 위험한 상호작용이다.
CLA를 섭취할 경우, 혈장 내 아디포넥틴의 농도가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아디포넥틴은 혈중 산화질소(NO) 생성을 촉진하는 작용이 있다. 산화질소는 혈관 내피세포에 작용하여 혈관을 확장시키기 때문에 혈압이 자연스럽게 떨어지게 된다.
반면 렙틴과 안지오텐시노겐의 농도는 감소시킨다. 렙틴은 지방 조직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교감신경계을 활성화시키는 특성이 있다. 교감신경이 활성화되면 심장박동이 빨라지고 혈관이 수축하면서 혈압이 다소 오르게 된다. CLA로 인해 렙틴의 농도가 낮아지면 교감신경 활동이 약해지면서 혈관수축이 완화되고 혈압이 떨어지게 된다.
안지노텐시노겐 역시 혈관수축과 혈관의 수분 재흡수를 증가시켜 혈압을 높인다. 그 때문에 CLA 섭취로 안지노텐시노겐이 줄어들면 혈압이 떨어지게 된다.
CLA가 고혈압약의 작용을 높인다는 사실은 실제 임상연구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중국 중산대학 제6부속병원 연구팀이 2009년 미국 고혈압 저널에 발표한 임상연구가 대표적이다. 연구팀이 고혈압환자 80명을 대상을 진행한 연구에서 CLA를 섭취한 그룹에서 고혈압약인 라미프릴의 혈압 강하 효과가 더 높게 나타났다.
CLA를 섭취한 그룹에서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가 높아지고 렙틴과 안지오텐시노겐 농도가 감소한 것도 관련 선행 연구들과 궤를 같이하고 있다.
체지방 관리용 건강기능식품인 만큼 CLA는 여성들이 주로 이용한다. 과체중 경향이 있고 혈압약을 복용하는 여성이 CLA를 이용한다면 약과 같이 먹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또 혈압약을 먹지 않더라도 평소 저혈압 경향이 있는 여성들은 활발하게 활동하기 전에 CLA를 먹기보다는 취침 전이나 휴식 전에 CLA를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자료]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m J Hypertens. 2009 Jun;22(6):680-6.
doi: 10.1038/ajh.2009.56.
Conjugated linoleic acid supplementation enhances antihypertensive effect of ramipril in Chinese patients with obesity-related hypertension
|
| 01 | '첨단재생의료 치료기회 확대를 위한 정책·... |
| 02 | 씨엔알리서치, ‘K-AI 신약개발 전임상·임상 ... |
| 03 | 인트론바이오, IMPATM 플랫폼 기술 신규 모... |
| 04 | 온코크로스, 복지부 주관 'K-AI 신약개발 전... |
| 05 | 에이비엘바이오 "네옥 바이오 공식 출범…이... |
| 06 | 한미약품 고혈압 복합제 베트남 진출…‘비엣... |
| 07 | 아이젠사이언스, 370억 규모 ‘K-AI 전임상/... |
| 08 | 에이프로젠,글로벌 규제 완화 속 바이오시밀... |
| 09 | 목암생명과학연구소, K-AI 신약개발 연구기... |
| 10 | 디엑스앤브이엑스,사업개발 전문가 유건상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