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바이오틱스 전문 기업 ㈜메디오젠은 최근 GLP-1 분비를 촉진하는 인체 유래 비피도박테리움 애니말리스 락티스 MG741(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 lactis MG741) 유산균에 대한 특허 등록을 완료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특허에 따르면, MG741 균주는 ▲GLP-1 분비 촉진 ▲근육 재생 및 세포 증식 촉진 ▲근육 단면적 증가 ▲근육 세포 보호 효과가 확인됐다. 이를 바탕으로 MG741 균주는 섭취 시 장 내에서 GLP-1 분비를 촉진해 비만, 당뇨, 심혈관 질환 등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 효과를 보였으며, 더 나아가 근감소증(sarcopenia), 근위축증(muscular atrophy) 등 근육 관련 질환 관리에도 동시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줬다.
GLP-1(Glucagon-Like Peptide-1) 계열 치료제는 비만과 당뇨 관리 핵심으로 자리 잡고 있다.
한국바이오협회 보고에 따르면 글로벌 비만∙당뇨병 치료제 시장은 2023년 약 801억 달러(한화 약 111조원) 규모로, 이 중 GLP-1 비만 치료제가 전체 비만 치료제 매출의 약 93.1%인 62억 달러(한화 약 8조원)를 차지했다. 또 GLP-1 당뇨병 치료제는 전체 당뇨병 치료제 42.3%인 311억 달러(한화 약 43조원)에 달했다. 향후 2028년까지 글로벌 비만 치료제 시장은 연평균 48.3% 성장해 480억 달러(한화 약 66조원) 규모로 확대할 것으로 전망되며, 당뇨병 치료제 시장 역시 연평균 5.1% 성장해 942억 달러(한화 약 130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GLP-1은 혈당 조절, 식욕 억제, 체중 감소, 심혈관 건강 개선 등 폭넓은 효능을 보유하고 있으며, 글로벌 제약사 노보 노디스크(Novo Nordisk)의 ‘위고비(Wegovy)’와 일라이 릴리(Eli Lilly)의 ‘마운자로(Mounjaro)’가 상용화돼 임상 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합성 약물은 부작용과 장기 복용에 따른 약가 부담이 뒤따른다. 이에 따라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대안으로 ‘유산균 기반 GLP-1 활성화 전략’이 새로운 주목을 받고 있다.
연구소장 김병국 전무는 “이번 특허 등록은 GLP-1 분비 촉진이라는 새로운 기전을 유산균에서 확인한 것으로, 장 건강을 넘어 대사 질환과 근육 건강을 함께 관리할 수 있는 차별화된 프로바이오틱스의 발굴 성과”라며, “앞으로도 과학적 근거 기반의 균주 개발을 통해 글로벌 헬스케어 시장에서 혁신을 이끌겠다”고 말했다.
한편,메디오젠은 국내에서 식약처 고시 19종 프로바이오틱스 균주 뿐 아니라 다양한 기능성 균주 및 차세대 프로바이오틱스를 모두 생산할 수 있는 역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GMP, HACCP, FDA 인증을 갖춘 총 75톤 규모 생산 설비를 기반으로 국내 최대 규모 프로바이오틱스 생산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2024년부터 본격화된 프로바이오틱스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을 통해 국내 여러 기업과 연구 협력을 진행 중이며, 고객 맞춤형 균주 개발 서비스 및 개별인정형 원료 인증을 위한 원료표준화 등의 컨설팅도 제공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