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KOREA LIFE SCIENCE WEEK 2025’가 9월 30일부터 10월 1일까지 COEX 3층 D홀에서 열린다. 행사는 제약·바이오헬스, 첨단 연구·실험분석장비, 첨단재생의료를 하나의 흐름으로 연결하는 B2B 오픈이노베이션 플랫폼으로 기획됐다.
현장에서는 △KOREA LIFE SCIENCE(국제 제약·바이오·헬스케어 산업전) △KOREA LAB Autumn(국제 연구·실험장비·분석과학기기 및 R&D 융복합 첨단과학기술전) △NextRegenX(국제 첨단재생의료 산업전) 등 3개 전시회가 동시 개최된다.
특히 NextRegenX(국제 첨단재생의료 산업전)는 첨단재생의료산업협의회(CARM)와 공동 주최되며, 국내 최초로 선보이는 재생의료 특화 전시회다.
△ 통합 운영 콘셉트: 전시–지식–투자–네트워킹 결합
KOREA LIFE SCIENCE WEEK 2025는 전시와 더불어 컨퍼런스·포럼·세미나 트랙을 운영해 산업 전략, 규제·품질, 연구·분석기술, 재생의료 등 핵심 의제에 대한 현장 적용·사업화 중심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주최 사무국은 전시, 포럼·세미나, 기술이전·IR, 네트워킹을 유기적으로 연결해 부스 상담→세션 토론→1:1 미팅과 투자 협의까지 현장에서 한 흐름으로 이어지도록 설계했다.
△ 전시회 구성 및 주요 주제
KOREA LIFE SCIENCE (국제 제약·바이오·헬스케어 산업전)
의약품·바이오의약, 세포·유전자치료 개발, 바이오프로세싱 및 공정장비, CDMO/CMO/CRO, 임상·허가·규정준수(QA/QC/RA), 디지털 헬스/데이터 기반 솔루션 등 제약·바이오 밸류체인을 폭넓게 다룬다.
연계 프로그램으로 제약·바이오사업개발 전략포럼, 제약·바이오헬스 통계포럼, 유망 바이오벤처·스타트업 투자포럼, IPIR(Pharma & Biotech IR), Data Integrity 포럼을 동시 개최한다. 산업 전략과 데이터 기반 인사이트, 투자 및 파트너링을 한 자리에서 연결해 연구–개발–사업화의 전주기를 지원하도록 기획했다.
KOREA LAB Autumn (국제 연구·실험장비·분석과학기기 및 R&D 융복합 첨단과학기술전)
연구실 기본장비·안전장비, 샘플 전처리·분석기기, 첨단 계측·이미징, 공정·엔지니어링 R&D 솔루션 등 하반기 R&D 현장 수요를 겨냥한 장비·기술을 집중 선보인다.
부대행사로 ‘대한민국 첨단과학기술 특별강연’, ‘첨단연구실험장비 OPEN LAB 워크숍’, ‘참가업체 OPEN 세미나’를 운영해 실무 적용 포인트를 제시한다. 연구자와 장비 공급사가 문제정의–솔루션–적용을 빠르게 합의할 수 있도록 큐레이션한다.
NextRegenX (국제 첨단재생의료 산업전) — CARM 공동 주최, 국내 최초 개최
올해 처음 선보이는 NextRegenX 2025는 KOREA LIFE SCIENCE WEEK의 재생의료 분야를 전담하는 핵심 전시로, 연구–제조–임상–허가–사업화까지 전주기를 하나의 흐름으로 제시한다. 세포·유전자치료(CGT), 조직공학·3D 바이오프린팅, 바이오소재·스캐폴드, 배양·분화·QC, 자동화·디지털 솔루션 등 임상 번역과 상용화에 직결되는 기술을 중심으로 큐레이션했다.
또, 병원·연구기관, 제약·바이오 기업, CDMO/CRO, 장비·소재 기업, 투자기관이 실증 데이터와 적용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협력 지점을 찾을 수 있도록 설계했다.
첨단재생의료산업협의회(CARM)와의 공동 주최를 통해 산업·임상·정책 네트워크를 결집했고, 동시 개최 프로그램으로 ‘첨단재생의료 발전전략 국제포럼’, ‘제3회 CARM 오픈이노베이션 투자 콘퍼런스 & VC 1:1 컨설팅’을 마련했다. 기술 검증에서 투자·파트너십으로 이어지는 트랜슬레이셔널 파이프라인을 현장에서 구현해 국내외 기관·기업·투자자 간 시장 진입 전략과 공동개발 모델을 구체화할 예정이다.
△ 전시회 특별주제관 운영
Bio-Health 대학산학협력관 —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공동 기획·운영
대학 산학협력단·기술지주회사가 연구자의 핵심 기술·특허·시제품을 포스터·전시 자료로 소개한다. 현장 기술발표와 기술이전(라이선스·공동연구·스핀오프 등) 1:1 상담을 연계해 유망 파이프라인 발굴과 협력 논의를 지원한다. 기술성숙도(TRL, 1~9단계)·적용 분야·사업화 포인트를 명확히 제시해 후속 미팅으로 연결할 예정이다.
Bio-Health 안전보건 특별관 — 안전보호구협회 공동 기획·주최
제약·실험실·바이오 현장에서 확대되는 안전·규정준수 이슈에 대응해 호흡보호, 가스 검지/모니터링, 크린룸 대응 보호구, 화학물질 취급 안전을 중심으로 현장 적용 기준과 도입 가이드를 제공한다. 제약사·연구소·병원·CMO/CRO 등 수요처 연계 상담으로 안전성·품질·운영 효율을 동시에 높이는 대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Data Integrity 체험관
제약·바이오 GxP(제조·시험·임상 등 ‘우수’ 기준) 환경에서 데이터 생성–기록–검증–보관–조회 전 과정을 표준·가이드라인 기준으로 한눈에 정리한다. 전자기록·전자서명(ER/ES), 감사추적(Audit Trail), 변경관리, 접근권한, 백업·보존, 컴퓨터화시스템 밸리데이션(CSV)의 핵심 체크포인트를 정리하고, 동시 개최 Data Integrity 포럼과 연계해 실무 대응력을 높인다.
KDRA 바이오 혁신기업 포스터존 —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공동 기획·운영
제약·바이오기업·벤처/스타트업·대학·연구기관의 우수 기술을 포스터로 소개한다. 핵심 파이프라인, 플랫폼 기술, (비)전임상 현황, IP/규제 포인트를 한눈에 제시하며, 포스터 브리핑–1:1 상담–비즈 파트너링 연계를 통해 기술이전·공동개발·투자 논의로 직접 연결한다. 접수 및 세부 안내는 조합 공식 홈페이지에서 공지한다.
첨단바이오(MPS, CAR-X, Epi-editer) 기술개발 홍보관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과 고려대학교가 첨단바이오 분야의 우수 기술 및 제품을 보유한 기업(기관)과 함께 ‘첨단바이오(MPS, CAR-X, Epi-editor) 기술개발 컨설팅 및 세미나’ 홍보관을 구성한다. 홍보부스 운영과 함께 혁신 기술을 소개하는 이틀간의 컨설팅·세미나를 병행한다.
충북 첨단재생바이오 혁신특구 홍보관
충북 지역 유망기업이 세포·유전자치료, 바이오소재, 공정·장비 역량을 선보이며, 기술 도입·공동과제·제조/유통 파트너십으로의 확장을 지원한다. 총 6개 기업이 참가해 바이오의약·세포·유전자치료제·바이오헬스 등 충청북도의 우수 기업을 소개한다.
△ 산업 트렌드 이끄는 다양한 포럼- 세미나
KOREA LIFE SCIENCE WEEK 2025는 전시와 더불어 컨퍼런스·포럼·세미나 트랙을 운영해 현장 적용·사업화 중심의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아래 프로그램은 전시 기간 중 순차 진행하며, 일부 세션은 좌석 제한으로 사전등록(www.lifescienceweek.com)이 필요하다.
KOREA LIFE SCIENCE 트랙
-제약 바이오사업개발 전략포럼: 글로벌 규제·시장 환경 변화 속 파이프라인 확장, 라이선싱·공동개발, 상업화 전략을 종합적으로 다루고 기술–임상–BD를 잇는 실행 로드맵을 제시한다.
-제약·바이오헬스 통계포럼: 산업 통계와 데이터 인사이트를 통해 투자·생산·수출입 흐름을 입체적으로 분석한다.
-유망 바이오벤처·스타트업 투자포럼: 초기·성장 단계 기업이 기술·비즈니스 모델을 발표하고 투자자와 심화 질의응답을 진행하며, 세션 종료 후 후속 미팅 연계를 지원한다.
-IPIR 2025 (Pharma & Biotech IR): R&D 중심 우량 제약·바이오기업이 파이프라인·임상·사업화 전략을 발표하며, 기관투자자·전략 파트너 대상 IR 세션으로 구성된다.
-Data Integrity 포럼: GxP 환경에서 전자기록·전자서명(ER/ES), 감사추적(Audit Trail), CSV 등 핵심 요구사항과 인스펙션 대비 포인트를 정리하며, QA/QC, 제조·품질시스템, CSV/IT 밸리데이션 실무자에게 유용한 체크리스트를 제공한다.
KOREA LAB Autumn 트랙
-대한민국 첨단과학기술 특별강연: 최신 연구성과와 응용 가능성을 학술·산업 관점에서 제시해 연구 방향 설정과 장비·분석 전략 수립에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첨단연구실험장비 OPEN LAB 워크숍: 발표사가 장비를 현장에서 직접 시연하고 참관객과 대면 질의응답·트러블슈팅을 진행한다. 세팅·교정, 샘플 준비, 데이터 판독 등 실무 절차를 눈앞에서 확인할 수 있어 도입 검토와 운영 최적화에 실질적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첨단연구실험장비 참가업체 OPEN 세미나: 참가업체가 직접 보유한 신제품·신기술에 대한 발표와 현장 데모·Q&A를 통해 성능과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 도입·운영 로드맵을 안내한다.
NextRegenX 트랙 (CARM 공동 주최, 국내 최초)
-첨단재생의료 발전전략 국제포럼: “글로벌 바이오 대전환기, 첨단재생의료 적용 범위 확대와 상용화 전략”을 주제로, 세포·유전자치료(CGT), 조직공학 등 재생의료 전주기의 정책·임상·사업화 이슈를 국제 사례와 함께 다룬다. 임상·허가·제조·시장 진입 전략을 입체적으로 제시할 예정이다.
제3회 CARM 오픈이노베이션 투자 콘퍼런스 및 VC 1:1 컨설팅 상담회
첨단재생의료산업협회(CARM)이 ㈜경연전람과 공동주최 하는 행사로, VC 1:1 컨설팅과 연계하여 개최한다. 재생의료 분야 기업의 기술·비즈니스 피칭과 심화 질의응답을 진행한 뒤, 관심 투자사와의 개별 미팅으로 즉시 연결되도록 구성했으며, 발표세션→Q&A→1:1 컨설팅으로 이어지는 구조를 현장에서 투자 검토와 실무 컨설팅을 지원한다.
특히 한국투자파트너스, 데일리파트너스, DSC인베스트먼트, IMM인베스트먼트, KB인베스트먼트, SV인베스트먼트, 미래에셋캐피탈,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 컴퍼니케이파트너스, 신한벤처투자 등 총 12개사가 ‘개런티 투자사’로 확정되어 VC 1:1 컨설팅에 참여할 예정이다.
△ 비즈 파트너링 및 바이어 프로그램
비즈 파트너링 시스템으로 온라인 사전 매칭과 현장 1:1 미팅을 유기적으로 연계하도록 설계했다. 참가사는 기업·제품/기술 정보와 협력 희망 분야(공동개발, 기술이전/라이선스, 유통·조달, 투자 등)를 등록하고, 바이어·파트너는 관심 카테고리와 니즈를 설정해 상호 검색–미팅 요청–수락 절차로 일정을 자동 확정한다.
전시 기간에는 비즈 파트너링 라운지와 운영 데스크를 운영해 현장 변경·추가 미팅을 지원하며, 별도 상담 공간을 마련해 제품 검토–규제·품질 논의–후속 미팅이 한 자리에서 이어지도록 프로세스를 표준화했다.
또한 주최측이 엄선한 해외바이어 초청 1:1 상담회를 병행해 수출, 지역 총판, 공동개발 등 글로벌 파트너십 논의가 현장에서 구체화되도록 기획한다.
비즈 파트너링 사전 매칭 프로그램은 9월 1일(월)부터 오픈하며, 자세한 내용은 전시회 공식 홈페이지(www.lifescienceweek.com)에서 확인하면 된다.
전시 첫날 저녁에 열리는 KOLS WEEK BEER PARTY(콜스 비어 파티)는 공식 프로그램 없이 자유롭게 교류하는 캐주얼 네트워킹 자리다. 참가기업·연사·바이어·연구기관·협단체 관계자가 편하게 대화하고 명함 교환·레퍼런스 공유·협력 아이디어 논의를 이어간다. 비즈 파트너링 매칭 결과와 연계해 후속 미팅을 자연스럽게 확장하도록 돕는다.
주최사무국은 “올해 행사는 전시 – 컨퍼런스·포럼·세미나(지식) –IR·기술이전·투자 – 네트워킹을 하나의 흐름으로 통합한 글로벌 오픈이노베이션의 장을 구현한다”며 “특히 CARM과 공동 주최하는 NextRegenX를 통해 국내 재생의료 생태계의 글로벌 협력과 투자 연계를 본격화하겠다”고 밝혔다.
△무료 관람 등록
이번 전시회는 9월 30일부터 10월 1일까지 매일 오전 9시 30분부터 오후 5시까지 운영되며, 사전 등록을 통해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
전시회 참가업체 리스트, 부스 배치도, 컨퍼런스 및 포럼 일정 등 자세한 정보는 공식 홈페이지(www.lifescienceweek.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문의처 : 전시사무국 ㈜경연전람 T. 02-785-4771 / E. sales@lifescienceweek.com
01 | 약사회, 대통령실 앞 릴레이 시위 돌입…“한... |
02 | 관세청, K-뷰티 수출 확대 위해 무역 장벽 ... |
03 | 혁신 비만치료제 개발 가속 '한미약품' 신약... |
04 | 미국 하원, 2026 국방수권법안 통과...‘생물... |
05 | 애경산업, 세계화장품학회서 연구성과 2건 발표 |
06 | 앱클론, 차세대 카티 치료제 '네스페셀' 개... |
07 | GC녹십자,독감백신 ‘지씨플루’ 누적 생산량... |
08 | 마티카바이오랩스,사이알바이오와 CDMO 계약... |
09 | 이노퓨틱스, 파킨슨병 유전자치료제 1상 임... |
10 | 키프라임리서치 "ADC 개발 성공, '비임상 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