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업신문 자매지 화장품신문이 금융감독원 공시 2025년 8월 반기보고서(연결기준) 분석 결과, 화장품 관련 기업 75개사(코스피 15, 코스닥 55, 기타 외감 5)의 올해 상반기 매출총이익은 평균 915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10.1%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총이익률은 47.5%다. 2분기 매출총이익 평균은 463억원으로 전기 대비 2.6%, 전년동기 대비 8.3% 각각 증가했다. 매출총이익률은 47.2%다.
![]() |
![]() |
올해 상반기 매출총이익 순위는 변동 폭이 큰 편이었다,. 전년동기 4위였던 에이피알이 한국콜마를 제치고 3위로 뛰어올라왔다. 6위였던 애경산업은 10위로 곤두박질쳤다. 10위였던 파마리서치가 6위로, 10위권 밖이었던 달바글로벌이 7위를 차지했다. 9위였던 브이티가 10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1위는 LG생활건강이 차지했다. 1조6839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이하 전년비) 9.9% 역성장했다. 2위 아모레퍼시픽홀딩스는 1조6667억원으로 전년비 15.2% 증가했다.
3위는 에이피알. 4506억원을 기록, 전년비 92.5% 급증했다. 4위는 한국콜마로 전년비 13.1% 증가한 4008억원의 매출총이익을 냈다. 5위는 코스맥스로 매출총이익은 2177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비 2.4% 늘었다.
6~10위는 파마리서치(1926억원), 달바글로벌(1853억원), 실리콘투(1650억원), 휴젤(1556억원), 애경산업(1448억원)이다. 75개 화장품 기업 매출총이익 평균은 915억원이다.
△ 2025년 상반기 매출 총이익률 상위 10개사
![]() |
올해 상반기 매출총이익률이 가장 높았던 기업은 비올로 78.4%를 기록했다. 매출총이익은 230억원, 2위는 클래시스 78.1%, 매출총이익은 1253억원. 3위는 휴젤 77.8%. 매출총이익은 1556억원. 4위는 이노진 77.7%, 매출총이익은 28억원. 5위는 아스테라시스 77.3%. 매출총이익은 132억원.
6~10위는 달바글로벌(76.5%), 에이피알(75.9%), 파마리서치(74.8%),아모레퍼시픽홀딩스(73.8%), 케어젠(69.1%)이다. 75개 화장품 기업 매출총이익률 평균은 47.5%다.
△상반기 매출총이익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상위 10개사
![]() |
상반기 매출총이익의 전년비 증가율이 가장 큰 기업은 에코글로우다. 지배기업 매출총이익이 9억원 증가하면서 전년비 387.8% 늘었다. 매출총이익은 10억원.
2위는 제닉. 증가율은 377.9%. 지배기업 매출총이익이 100억원 증가하면서 126억원을 기록했다. 3위는 바이오플러스로 증가율은 140.2%. 매출총이익이 지배기업에서 97억원, 종속기업 등에서 68억원 각각 증가하면서 282억원을 기록했다.
4위는 셀바이오휴먼텍. 증가율은 129.4%. 매출총이익이 지배기업 21억원, 종속기업등에서 27억원 각각 늘었다. 매출총이익은 85억원. 5위는 엔에프씨. 증가율은 105.4%. 매출이 55억원 증가하면서 매출총이익은 38억원 증가한 74억원을 기록했다.
6~10위는 에이피알(92.5%), 청담글로벌(80.8%), 달바글로벌(74.1%), 파마리서치(73.5%), 아스테라시스(64.1%)다.
△2025년 2분기 매출총이익 상위 10개사
![]() |
2분기 매출총이익을 가장 많이 낸 기업은 아모레퍼시픽홀딩스다. 8122억원을 기록했다. 전기 대비 5.0% 역성장했으나, 전년동기보다는 12.6% 성장했다. 2위 LG생활건강은 8057억원을 기록, 전기대비 8.3%, 전년비 14.5% 각각 역성장했다.
3위는 에이피알로 2498억원을 기록, 전기대비 24.4%, 전년비 110.3% 급성장했다. 4위는 한국콜마로 전기대비 10.7%, 전년비 8.6% 각각 증가한 2105억원의 매출총이익을 냈다. 5위는 코스맥스로 1129억원을 기록했다. 전기대비 7.7%, 전년비 0.7% 각각 늘었다.
6~10위는 파마리서치(1072억원), 달바글로벌(995억원), 실리콘투(873억원), 휴젤(866억원), 애경산업(779억원)이다. 75개 화장품 기업 매출총이익 평균은 463억원이다.
△ 2025년 2분기 매출총이익률 상위 10개사
![]() |
올해 2분기 매출총이익률이 가장 높았던 기업은 휴젤로 78.6%를 기록했다. 매출총이익은 866억원. 2위는 달바글로벌로 77.5%다. 매출총이익은 995억원.
3위는 이노진 77.0%, 매출총이익은 15억원. 4위는 클래시스 76.9% ,매출총이익은 640억원. 5위는 파마리서치와 아스테라시스,에이피알이다. 매출총이익률은 76.2%.
8~10위는 비올(74.8%), 아모레퍼시픽홀딩스(74.2%), 원텍(70.4%) 이다. 75개 화장품 기업 매출총이익률 평균은 47.2%다.
△2025년 2분기 전기 대비 매출총이익 증가율 상위 10개사
![]() |
2분기에 지난 1분기 대비 매출총이익 증가율이 가장 큰 기업은 제이준코스메틱이다. 219.6% 증가했다. 매출총이익이 지배기업에서 2억원, 종속기업 등에서 3억원이 증가한 결과 8억원을 기록했다. 2위는 지디케이화장품으로 79.1%. 지배기업에서 매출총이익이 17억원 증가하면서 41억원의 매출총이익을 냈다.
3위는 한국화장품제조로 62.0%. 매출이 158억원 증가하며서 매출총이익은 59억원 늘어난 154억원을 기록했다. 4위는 제테마로 증가율은 50.0%. 지배기업 매출초이익이 39억원 증가한 결과 107억원의 매출총이익을 기록했다. 5위는 아스테라시스로 49.3% 증가했다. 매출총이익이 지배기업에서 26억원 증가하면서 79억원을 올렸다.
6~10위는 코스메카코리아(45.4%), 셀바이오휴먼텍(44.1%), 제닉(39.3%),에스엠씨지(39.0%), 콜마비앤에이치(37.6%)다.
△2025년 2분기 매출총이익 전년동기 대비 증가율 상위 10개사
![]() |
3위는에코글로우로 증가율은 291.4%. 지배기업 매출총이익이 5억원 증가하면서 전년동기보다 4억원 늘어난 5억원의 매출총이익을 기록했다. 4위는 셀바이오휴먼텍으로 매출총이익이 지배기업 12억원, 종속기업 등 17억원 각각 증가하면서 전년비 142.7% 증가했다. 매출총이익은 50억원. 5위는 바이오플러스. 증가율은 117.2%. 매출총이익이 지배기업 30억원, 종속기업등 40억원 긱각이 늘어나면서 130억원의 매출총이익을 기록했다.
6~10위는 에이피알(110.3%), 파마리서치(81.0%), 달바글로벌(74.5%), 청담글로벌(67.4%), 원텍(64.7%)이다.
01 | FDA, HLB '리보세라닙+캄렐리주맙' CRL 정식... |
02 | FDA, 허가신청 반려 통보문 발송 직후 공개키로 |
03 | 에스티팜, 제2올리고동 준공…올리고 CDMO 초... |
04 | 보령, ‘기술·경영 혁신대전’ 대통령 표창 수상 |
05 | 미국 트럼프 행정부, 의약품 제조 온쇼어링 ... |
06 | 엔젠바이오,의약품 도매상 누리팜 인수..제... |
07 | 한국바이오협회, 중국 상무부와 ‘한중바이오... |
08 | 엔케이맥스, 회생절차 종결..."정상기업 복귀" |
09 | 퓨쳐켐,전립선암 환자 '[177Lu]루도타다이 ... |
10 | 셀비온,전립선암 환자 'Lu-177-DGUL' 임상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