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 테라피] 파킨슨병을 의심해야 하는 5가지 증상
이주원 기자 joowon@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5-07-11 10:50   

최근 들어 증가세를 보이는 질병 중 파킨슨병이 있다. 

파킨슨병은 신경계를 침범하는 퇴행성 질환이다. 

파킨슨병의 원인이 명확히 밝혀진 것은 아니다. 

파킨슨병 환자들의 경우 뇌의 도파민이 부족하다는 공통점으로 보아 뇌 신경전달 물질의 부족으로 나타날 수 있다고 추정된다. 

신경전달물질이 부족해지면서 뇌가 신경계를 제어하기 어려워지는 것이다.

 

파킨슨병은 환자 본인은 물론이고 가족들에게도 큰 고통을 주는 소모성 질환이다. 

따라서 파킨슨병에 대한 공포도 상당하다. 

파킨슨병의 위험 요인으로 꼽히는 몇 가지 요소 중 가장 주요한 것은 노화로 인한 간 기능 저하다. 

간 기능이 떨어지면서 해독되지 못한 독성물질이 뇌세포를 파괴한다는 주장이다. 

그 외에 환경 독소가 원인이라는 의견도 있다.

 

파킨슨병이 생기면 가장 먼저 손이 떨리는 증상이 나타난다. 

심한 경우 숟가락질을 하기 어려울 정도로 손이 떨린다. 

몸이 전반적으로 무겁게 느껴지고 실제 동작이 굼떠지는 것도 특징이다. 

또 근육이 뻣뻣하게 느껴지고 피로감이 심해지며 얼굴표정이 굳는다. 

병증이 더 진행되면 말을 더듬고 식욕이 상실되며 걸음걸이도 부자연스러워진다. 

나중에는 우울증과 치매 증상도 동반될 수 있다.

 

파킨슨병이 있을 경우, 생으로 먹을 수 있는 식품이 권장된다. 

견과류, 통곡물, 야채 등이 좋다. 특히 아몬드, 호두, 호박, 참깨, 콩 등이 권장된다. 

이들 식품에는 페닐알라닌이라는 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다. 

또 녹즙을 많이 마시면 비타민과 식이섬유가 보충되어 병증을 완화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파킨슨병 치료를 위해 레보도파라는 의약품을 복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는 동물성 단백질 섭취를 제한하고 콩을 위주로 단백질을 먹는 게 좋다. 

또 비타민B6가 많은 바나나, 소고기, 생선, 땅콩, 감자 등도 줄여야 한다. 

비타민B6가 약물 작용을 저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파킨슨병이 중금속 축적에 의해 나타난다는 주장이 있는 만큼 납이나 알루미늄 등 중금속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자. 

물은 깨끗하게 정수된 것을 마시고 매연이 심한 대도시에 거주한다면 차량이 많이 다니는 시간에는 외출을 줄이자. 

파킨슨병 환자는 거동이 불편해 낙상 등 사고 위험이 있으므로 항상 보호구를 착용하는 것이 좋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