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 테라피] 열이 날 때 먹지 말아야 할 영양제
이주원 기자 joowon@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5-04-25 09:39   

다양한 원인에 의해 몸에서 열이 나게 된다.

우리 몸은 열을 통해 질병이 발생했다는 것을 알려준다. 

바이러스, 병원균 등이 침입하면 몸이 전시 상태에 돌입하는데, 가장 먼저 취하는 조치가 열을 내는 것이다. 

열을 통해 면역력을 활성화시키고 바이러스와 병원균을 약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성인은 38.8℃, 어린이는 39.4℃ 정도를 넘지 않으면 크게 문제가 없다. 

오히려 신진대사가 활발해져 질병에 대한 대응력이 높아진다. 

그러나 40℃를 넘어가는 열은 문제가 된다. 

이 정도 고열 상태가 계속되면 심장 박동이 너무 빨라져 심장에 무리를 준다. 

또 고열이 지속되면서 탈수가 나타나고 두뇌에 손상을 입힐 수도 있다. 

이 때는 열을 내리기 위한 조치를 취하자.

 

열이 나면 억지로라도 수분을 섭취해야 한다. 

탈수를 방지하는 것이 열을 관리하는 가장 중요한 수칙이다. 

과도한 신체활동을 줄이고 가능하면 많이 쉬는 것도 필요하다.

우리 몸은 질병에 대응하기 위해 이미 막대한 에너지를 사용하고 있다. 

열이 나면 소화능력이 약해지므로 딱딱한 음식은 피하자. 

너무 심하지 않다면 해열제를 복용해 인위적으로 열을 내리는 것을 권장하지 않는다.

 

만약 아연, 철이 함유된 영양제를 먹고 있다면 잠시 중단하자. 

열이 나면 아연 흡수가 저하되고 철은 몸의 긴장을 높일 수 있다. 

더구나 철은 감염을 유발하는 미생물의 자양분이 되기 때문에 반드시 피해야 한다. 

40℃ 이상의 고열이 계속되는 경우는 스스로 해결하려 하지 말고 반드시 병원 진료를 받아야 한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