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술패권 시대의 제약바이오 연구개발 지원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민관 합동 범부처 컨트롤타워인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 운영을 강화해야 한다는 전문가 제언이 나왔다.
이와 함께 수요자 기반 연구개발을 위한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민간 투자 활성화 촉진, 정부와 업계의 긴밀한 협력, 지속적인 혁신 과제 발굴 등 다각적 전략으로 신약개발을 육성해야 한다는 지적도 함께 나왔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연구팀 원상호 PL은 최근 발간한 KPBMA 브리프 26호에서 ‘기술패권 시대, 주요국 정부 제약바이오 R&D 현황 분석’ 발표를 통해 이같이 전했다.
원상호 PL에 따르면 기술패권 경쟁 대응과 사회적 주요과제 해결을 위해 각국 정부는 과학·기술 연구개발에 전략적으로 투자 중이다.
먼저 미국은 2025년 정부 총지출 약 7조3000억 달러 중 연구개발에 2020억 달러(약 278조원)를 투자할 예정이다. 해당 예산으로 안전, 보안 및 신뢰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술, 차세대 국가 안보 기술과 역량 강화, 기후위기 및 환경 영향 대처, 더 나은 보건의료 환경 구축 등의 연구개발 활동을 지원한다.
이중 미국 보건복지부는 보건의료 및 제약바이오 연구개발 관련으로 514억 달러를 요청했다. 이는 전년(476억 달러)대비 7.9% 증가한 규모로, 타 부처 대비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유럽은 총 예산 1894억 유로 중 연구 및 혁신(R&I) 분야에 136억 유로(약 20조원)를 배정했다. 이는 전년(133억 유로) 대비 2.6% 증가한 규모다.
이 중 보건 프로젝트에 6억7600만 유로를 지원하고 이외에 건강문제 해결 및 디지털 건강 데이터를 활용한 의료서비스 제공 등 포괄적인 의료 대응을 보장하기 위한 EU4Health 프로그램에 7억5240만 유로를 배정했다. 이를 통해 유럽을 위한 제약 전략과 유럽 암 극복 계획에 기여하고 정신건강, 디지털 건강 및 의약품 개발 정책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영국은 신년 봄 예산안에 따르면 총지출 5803억 파운드 중 과학혁신기술부에 전년(129억 파운드) 대비 10.1% 증가한 142억 파운드(약 25조원)를 배정했다.
최첨단 기술 환경 조성으로 유전체학, AI 등 차세대 의료 솔루션을 제공할 계획이며 북아일랜드, 웨일스에 의약품·진단제품 제조 시설 확장을 위해 정부와 업계가 9200만 파운드 규모의 공동 투자를 추진한다.
일본 정부의 2024년 회계연도 예산 총액은 112조5717억엔이다. 이중 보건의료 분야 연구개발 관련 예산은 2327억엔으로, 일본 의료 연구개발 컨트롤타워인 일본의료연구개발기구(AMED) 예산으로만 1489억엔을 배정했다.
한편 우리나라는 연구개발비 비중과 규모가 세계 최상위권인 편이다. 특히 제약바이오 분야 정부 연구개발 투자액과 비중은 원천기술 확보, 산업화 육성 지원 등을 위해 계속 증가하고 있다.
올해 제약바이오 분야를 주로 담당하는 3개 부처인 보건복지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의 연구개발 총예산은 15조77억원인데 이 중 바이오분야 연구개발 예산은 1조5910억원으로 10.6%를 차지한다. 이는 전년(1조5085억원) 대비 5.5% 증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내년도 연구개발 추진 방향으로 본연의 역할(선도·도전, 국가인재)에 집중하고 혁신의 확장을 가속(글로벌, 신성장)해 최초·최고에 도전하는 선도형 연구개발로의 전환을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다.
제약바이오 분야를 위해서는 첨단바이오 등 핵심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인재양성 추진, 의학적 난제 해결을 위한 도전연구, 디지털 바이오 등 혁신기반 및 생태계 조성을 통한 성장지원을 설정했다.
이와 더불어 민간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한 인프라 확충, 글로벌 시장 진출을 대비한 제품개발·임상 실증, 제조 혁신 등에 민간 투자 확대를 견인한다.
원상호 PL은 제약바이오 연구개발 지원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 운영 강화 △수요자 기반 연구개발 위한 거버넌스 구축 △제도적 뒷받침 마련 △효율적 연구개발 시스템 구축 △펀드활성화 및 조성 등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원상호 PL은 “바이오헬스혁신위 운영을 강화해 제약바이오산업의 중장기 청사진 및 전략을 수립하고 바이오헬스 혁신을 위한 규제장벽 개선 및 부처간 칸막이 없는 지원을 지속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연구개발 거버넌스를 구축해 민간 투자 활성화를 촉진하고, 제도적 뒷받침으로 지원체계를 마련하는 것도 필요하며, 부처 간 중복, 유사 예산 문제 해결을 위한 범부처 차원의 통합 심의 등 효율적 시스템 구축도 필요하다”고 전했다.
이어 “펀드활성화로 국내 제약사의 혁신신약 개발과 해외 진출을 위한 자금 규모 확대도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01 | 에이프로젠, 파멥신 PMC-309 독점적 개발 및... |
02 | 코오롱생명과학·바이오텍, ISO 37001·37301... |
03 | 강스템바이오텍, 유상증자 주주 청약률 103.... |
04 | 천연·유기농화장품 정부 인증 폐지…표시·광... |
05 | 온코닉테라퓨틱스,중국 파트너사서 5백만불... |
06 | 파멥신,에이프로젠과 면역항암제 'PMC-309'... |
07 | 현대바이오, '가짜내성 타깃 페니트리움-화... |
08 | 동아ST,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이뮬도사’ ... |
09 | 온라인 플랫폼 유통 가품 10개 중 1개가 화장품 |
10 | 콜마비앤에이치, 2분기 영업익 37%↑…첫 중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