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패권 시대, 제약바이오 강국 위한 필요조건은?
바이오헬스혁신위 운영 강화해야...민간투자활성화 및 제도적 뒷받침 등 필요 제언
이상훈 기자 jianhs@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4-08-14 06:00   수정 2024.08.14 06:00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 운영을 강화해야 기술패권 시대의 제약바이오 연구개발 지원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전문가 제언이 나왔다. ©DALL.E 

기술패권 시대의 제약바이오 연구개발 지원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민관 합동 범부처 컨트롤타워인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 운영을 강화해야 한다는 전문가 제언이 나왔다

이와 함께 수요자 기반 연구개발을 위한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민간 투자 활성화 촉진정부와 업계의 긴밀한 협력지속적인 혁신 과제 발굴 등 다각적 전략으로 신약개발을 육성해야 한다는 지적도 함께 나왔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연구팀 원상호 PL은 최근 발간한 KPBMA 브리프 26호에서 기술패권 시대주요국 정부 제약바이오 R&D 현황 분석’ 발표를 통해 이같이 전했다.

원상호 PL에 따르면 기술패권 경쟁 대응과 사회적 주요과제 해결을 위해 각국 정부는 과학·기술 연구개발에 전략적으로 투자 중이다

먼저 미국은 2025년 정부 총지출 약 73000억 달러 중 연구개발에 2020억 달러( 278조원)를 투자할 예정이다해당 예산으로 안전보안 및 신뢰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술차세대 국가 안보 기술과 역량 강화기후위기 및 환경 영향 대처더 나은 보건의료 환경 구축 등의 연구개발 활동을 지원한다.

이중 미국 보건복지부는 보건의료 및 제약바이오 연구개발 관련으로 514억 달러를 요청했다이는 전년(476억 달러)대비 7.9% 증가한 규모로타 부처 대비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유럽은 총 예산 1894억 유로 중 연구 및 혁신(R&I) 분야에 136억 유로( 20조원)를 배정했다이는 전년(133억 유로대비 2.6% 증가한 규모다

이 중 보건 프로젝트에 67600만 유로를 지원하고 이외에 건강문제 해결 및 디지털 건강 데이터를 활용한 의료서비스 제공 등 포괄적인 의료 대응을 보장하기 위한 EU4Health 프로그램에 75240만 유로를 배정했다이를 통해 유럽을 위한 제약 전략과 유럽 암 극복 계획에 기여하고 정신건강디지털 건강 및 의약품 개발 정책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영국은 신년 봄 예산안에 따르면 총지출 5803억 파운드 중 과학혁신기술부에 전년(129억 파운드대비 10.1% 증가한 142억 파운드( 25조원)를 배정했다.

최첨단 기술 환경 조성으로 유전체학, AI 등 차세대 의료 솔루션을 제공할 계획이며 북아일랜드웨일스에 의약품·진단제품 제조 시설 확장을 위해 정부와 업계가 9200만 파운드 규모의 공동 투자를 추진한다

일본 정부의 2024년 회계연도 예산 총액은 1125717억엔이다이중 보건의료 분야 연구개발 관련 예산은 2327억엔으로일본 의료 연구개발 컨트롤타워인 일본의료연구개발기구(AMED) 예산으로만 1489억엔을 배정했다.

한편 우리나라는 연구개발비 비중과 규모가 세계 최상위권인 편이다특히 제약바이오 분야 정부 연구개발 투자액과 비중은 원천기술 확보산업화 육성 지원 등을 위해 계속 증가하고 있다

올해 제약바이오 분야를 주로 담당하는 3개 부처인 보건복지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산업통상자원부의 연구개발 총예산은 1577억원인데 이 중 바이오분야 연구개발 예산은 15910억원으로 10.6%를 차지한다이는 전년(15085억원대비 5.5% 증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내년도 연구개발 추진 방향으로 본연의 역할(선도·도전국가인재)에 집중하고 혁신의 확장을 가속(글로벌신성장)해 최초·최고에 도전하는 선도형 연구개발로의 전환을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다.

제약바이오 분야를 위해서는 첨단바이오 등 핵심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인재양성 추진의학적 난제 해결을 위한 도전연구디지털 바이오 등 혁신기반 및 생태계 조성을 통한 성장지원을 설정했다

이와 더불어 민간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한 인프라 확충글로벌 시장 진출을 대비한 제품개발·임상 실증제조 혁신 등에 민간 투자 확대를 견인한다

원상호 PL은 제약바이오 연구개발 지원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 운영 강화 △수요자 기반 연구개발 위한 거버넌스 구축 △제도적 뒷받침 마련 △효율적 연구개발 시스템 구축 △펀드활성화 및 조성 등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원상호 PL바이오헬스혁신위 운영을 강화해 제약바이오산업의 중장기 청사진 및 전략을 수립하고 바이오헬스 혁신을 위한 규제장벽 개선 및 부처간 칸막이 없는 지원을 지속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연구개발 거버넌스를 구축해 민간 투자 활성화를 촉진하고제도적 뒷받침으로 지원체계를 마련하는 것도 필요하며부처 간 중복유사 예산 문제 해결을 위한 범부처 차원의 통합 심의 등 효율적 시스템 구축도 필요하다고 전했다.

이어 펀드활성화로 국내 제약사의 혁신신약 개발과 해외 진출을 위한 자금 규모 확대도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