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최대 CDMO '우시',세계 최대 '미국 바이오 행사' 불참..왜?
매년 참가 우시바이오-우시앱텍, 지정학적 긴장 악화 속 '2024 BIO 컨벤션' 불참
미국 의회 '생물보안법안'을 발의...법안 통과 경우 사실상 미국 시장 퇴출될 가능성 높아
우시 외 '진스크립트' 포함 31개 중국 CRO와 CDMO는 전시업체로 참여
이권구 기자 kwon9@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4-05-02 09:57   수정 2024.05.02 10:00
우시바이오로직스가 미국 매사추세츠주 우스터에 건설 중인 바이오 원료의약품 CDMO 제조소 모식도.©우시바이오로직스
 

중국 최대  CDMO 기업 우시가 미국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바이오 행사에 불참한다. 미국이 특정 중국 바이오기업들과 거래 제한을 목적으로 추진 중인  '생물보안법' 등에 따른 지정학적 긴장 악화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까지 우시바이오로직스와 우시 앱텍은 매년 바이오 컨벤션에 전시부스를 설치해 홍보했다.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가 미국 바이오제약 전문매체 'Fierce Pharma'를 인용해 2일 낸 ‘이슈 브리핑’에 따르면  중국 최대 CDMO 기업인 우시바이오로직스와 우시앱텍이 미국에서 개최되는 바이오업계 세계 최대 행사에 불참하기로 했다.

미국바이오협회(BIO) 대변인도 우시바이오가 다음 달 열리는 ‘2024 BIO International Convention’에 참석하지 않을 것이라고 확인했다.

올해 행사 불참은 바이오 산업을 둘러싼 양국 간 긴장 고조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 올해 1월, 미국 의회는 소위 ‘외국의 적대적 바이오기업’이 미국 연방자금을 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들 기업과 거래를 제한하는 ‘생물보안법안’을 발의했으며, 법안이 통과될 경우 법안에서 언급된 우시앱텍과 우시바이오로직스 등은 사실상 미국 시장에서 퇴출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BIO 컨벤션'...한국, 26개사 참여-지난해보다 큰 규모 한국관 운영

행사 주최기관인 미국바이오협회(BIO) 신임 회장인 존 크롤리(John Crowley)는 올해 3월 공개적으로 생물보안법안을 지지하는 성명서를 발표했으며, 미국 바이오협회 회원사인 우시앱텍은 미국바이오협회 회원 탈퇴를 결정했다. 

중국 최대 바이오 CDMO 기업인 우시앱텍과 우시바이오로직스가 6월 바이오 컨벤션에 참여하지 않기로 했지만 진스크립트(GenScript)를 비롯해 Altruist Biologics, HkeyBio Tech Hzymes Biotechnology, Thousand Oaks Biologics 등 31개 중국 CRO와 CDMO는 전시업체로 참여할 예정이다.

한국 경우 산업통상자원부 지원 하에 코트라 및 한국바이오협회가 6월 바이오컨 벤션에 지난해보다 더 큰 규모로 한국관을 설치 운영할 예정이다. 한국관에는 국내 바이오기업 26개사가 참여하며,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셀트리온 등은 한국관과 별도로 전시부스를 운영할 예정이다.

지난해 미국에서 개최된 바이오컨벤션에는 한국에서 1000명 이상이 참가해 미국 다음으로 많은 참가국으로 기록됐다.

한편, 올해 1월 미국 상원과 하원에서 각각 발의된 생물보안법에 대한 입법절차가 속속 진행되고 있다.

최근 STAT 뉴스는, 5월 중 하원위원회가 생물보안법안을 수정해 7월 4일 휴회 전 통과시키고 연말까지 통과시킬 필수 입법 패키지에도 포함시킬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올해 3월 6일 미국 상원 상임위원회인 국토안보위원회에서는 생물보안법안이 찬성 11, 반대 1로 통과됐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