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웅제약, 2030년 신약 매출 1조' 비전 전격 공개
3E 글로벌 초격차 전략'도 발표..."글로벌 빅파마로 도약할 것"
이상훈 기자 jianhs@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3-10-26 10:10   
 CPHI 2023 현장에서 김도영 대웅제약 글로벌사업본부 센터장이 대웅제약의 3E 글로벌 초격차 전략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대웅제약

2년 연속 신약개발에 성공한 대웅제약이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펙수클루와 당뇨병 치료제엔블로를 앞세운 '2030년 신약 매출 1비전을 전격 공개했다글로벌 빅파마 도약을 위한 대웅만의 '3E 글로벌 초격차 전략'도 발표했다.

대웅제약(대표 전승호·이창재)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세계 최대 제약바이오 전시회 ‘CPHI Worldwide 2023’에서 자체 개발 신약의 ‘3E 글로벌 초격차 전략과 신약 글로벌 매출 1조원 달성 비전을 동시 발표했다고 26일 밝혔다.

9년 연속 CPHI에 참가 중인 대웅제약은 펙수클루와 엔블로 등 자체 개발 신약을 중심으로 2030년까지 글로벌 매출 1조원을 달성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대웅제약이 이날 발표한 3E 글로벌 초격차 전략은 신속한 글로벌 품목허가(Efficiency) 동시다발적 신약 라인업 확충(Extension) AI 도입한 국내 유일 4단계 스마트팩토리의 압도적인 생산 우수성(Excellence) 등 세 가지다향후 '3E 전략'을 바탕으로 국내 1위 제약사이자 국내 최초 글로벌 빅파마로 도약한다는 계획이다

대웅제약은 먼저, ‘신속한 글로벌 품목허가(Efficiency) 전략으로 글로벌 진출을 가속화하고 있다신약 개발단계에서 글로벌 품목허가와 계약을 동시에 진행해 국내 출시와 해외 진출을 효율적으로 추진함으로써 신약 특허기간 내에 빠르게 글로벌 진출을 꾀하는 전략이다특허 만료 전에 국내와 해외 출시의 격차를 최소화해 오리지널 신약의 주도권을 확보하는 것이다.

실제 대웅제약 펙수클루는 국내 출시 1년 만에 12개 국가에 품목허가를 제출, 1년만에 4개국 승인 받고 지난 7월 필리핀 론칭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글로벌 판매를 시작했다이는 국산 신약 중 가장 빠른 속도다.

둘째대웅제약은동시다발적 신약 라인업 확충(Extension)’ 전략을 내세웠다자체 개발 신약의 복합제 라인업과 적응증을 동시에 확대해 블록버스터 신약으로 빠르게 성장하겠다는 전략이다.

대웅제약은 국내 최초 SGLT-2 억제제 계열 당뇨병 치료제엔블로를 지난 5월 정식 출시하고 한 달 만에 2제 복합제 엔블로멧(성분명 이나보글리플로진메트포르민염산염)의 국내 허가를 취득했다뿐만 아니라 엔블로멧은 올해 안에 출시를 계획하고 있어 단일제와 함께 시너지를 기대하고 있다.

엔블로가 복합제 개발로 시장성을 확보하는 한편펙수클루는 적응증 확보를 통해 시장을 확장해나갈 계획이다위염 미란성 위식도 역류질환의 치료 후 유지요법 NSAIDs 유발 궤양 예방 H. pylori 제균(항생제 병용NERD 치료 등 5개의 적응증을 개발 중으로 다양한 소화기 질환의 치료옵션을 확장하며 펙수클루의 처방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내년 상반기 목표로 하는 위염 적응증은 경쟁제품이 미확보한 적응증으로 현재 3상 임상 허가 승인을 마친 상태다.

또 엔블로의 주성분 '이나보글리플로진'으로 세계 최초 안약 형태의 당뇨망막병증 치료제를 개발 중이다지난 9월 임상 1상 시험계획을 승인 받아 진행 중인데 현재 당뇨망막병증의 치료제는 안구에 약물을 직접 주사하는 항체치료 주사제만 개발돼 있어개발 성공하면 투약 편의성을 대폭 개선해 항체치료제를 대체하는 게임체인저로 부상할 것으로 회사는 보고 있다.

셋째, ‘압도적인 생산 우수성(Excellence)’ 전략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사와 격차를 벌리고 있다는 평가다대웅제약은 지난 2017년 오송 스마트팩토리를 준공하고 발빠르게 AI를 도입정부의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이 인증하는기업제조혁신역량수준 4단계에 도달했다대웅제약 오송 스마트공장은 모든 생산과정을 ICT(정보통신)기술로 통합해 최소 비용과 시간으로 고객 맞춤형 제품을 생산하는 첨단 지능형 공장이다최첨단 생산 시설은 글로벌 GMP 인증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는 핵심 경쟁력이다.

최근 대웅제약은 미국 FDA cGMP 만큼 까다로운 브라질 식의약품감시국(ANVISA) bGMP 인증을지적사항 없음으로 한번에 획득했다브라질 식의약품감시국 실사단은 지난달 4~7일까지 대웅제약의 오송 스마트공장을 방문해 신약 펙수클루와 엔블로의 생산과정을 실사했는데, 4단계 도달한 오송스마트팩토리의 뛰어난 우수성에 실사단도 감탄했다는 후문이다이번 bGMP 인증으로 펙수클루와 엔블로의 브라질 수출 시기도 대폭 앞당겨졌다.

대웅제약의 신약 펙수클루와 엔블로의 미래 시장가치는 매우 높다위장질환과 당뇨병은 전세계적으로 수요가 높은 시장으로 두 시장 규모를 합치면 100조원이 훌쩍 넘는다.

글로벌 시장 조사기관들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전세계 위식도역류질환 시장은 약 21조원, 2형 당뇨병 시장은 93조원에 달한다펙수클루가 속한 P-CAB 계열과 엔블로가 속한 SGLT-2 억제제 계열은 기존 약들을 빠르게 대체해 대웅제약의 두 신약은 차기 글로벌블록버스터로 성장할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대웅제약 전승호 대표는 “FDA 승인을 획득한 나보타와 신약 펙수클루와 엔블로는 3E 글로벌 초격차 전략으로 역대 국산 신약들 가운데 가장 빠른 속도로 글로벌 시장에 진출하고 있다 “2030년까지 신약 매출 1조원을 달성하고 국내 1위 제약사, 국내 최초 글로벌 빅파마로 도약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