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마리서치 "'PDRN 플라센텍스' 복합부위 통증 증후군 2형 치료에 효과적"
플라센텍스, 복합부위 통증 증후군 환자서 통증과 피부발적 등 개선
권혁진 기자 hjkwon@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3-02-21 11:28   

△사진=파마리서치 제공
 
파마리서치는 PDRN 오리지널 주사제 ‘플라센텍스’가 복합부위 통증 증후군 2형의 치료에 도움이 되는 것이 확인됐다고 21일 밝혔다.

이 결과는 SCI-E급 학술지인 대한신경외과학회지(2016년)에 실린 ‘폴리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 주사를 이용한 급성기 복합부위 통증 증후군 II형 치료(Treatment for Acute Stage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Type II with Polydeoxyribonucleotide Injection)’ 주제 논문에 게재됐다.

특히 논문에는 복합부위 통증 증후군 2형 환자에게 PDRN(플라센텍스)을 투여한 후 환자의 통각 과민 증상과 통증, 피부 발적이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파마리서치에 따르면 임상시험은 제5요추의 왼쪽 횡돌기 골절로 요천추신경총에 손상을 입어 복합부위 통증 증후군 2형을 진단받은 30대 여성 환자를 대상으로 이뤄졌다. 당시 환자는 스테로이드를 포함해 여러 신경차단술을 받은 후에도 왼쪽 다리의 마비와 양말을 신기 힘들 정도의 무해자극통증(Allodynia, 무해하지 않은 자극에도 통증을 느끼는 증상), 피부 발적을 겪고 있었다. 특히 환자는 최초 외상 후 2개월이 지난 상태로 통증 질환이 급성기에서 만성기로 진행되는 과정이었다. 

이 환자에게 C형 방사선투시기 보조 아래 환자의 골절 부위에 주사바늘을 삽입해 플라센텍스 주사제를 3ml씩 총 6ml 를 투여했고, 환자는 투여 후 1일 평가 및 1개월 추적 관찰로 치료 예후를 진단받았다. 환자는 주사제 투여 후 하루 만에 환자의 무해자극통증과 통각과민, 피부발적 증상이 상당히 개선됐으며 3일 후 환자는 정상 퇴원했다. 또한 1개월간 추적 관찰을 실시한 결과 이전보다 증상이 크게 호전된 것으로 나타났다.

파마리서치의 PDRN 오리지널 주사제 플라센텍스는 연어나 송어의 생식 세포에서 분리한 DNA분절체를 통해 조직 재생에 효과를 보이는 주사제다. 플라센텍스는 무항생 · 비스테로이드제 성분에 부작용이 적을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플라센텍스는 지난 1990년 이탈리아 마스텔리 사에서 개발했으며, 국내에는 2008년부터 파마리서치가 전국의 정형외과 및 통증의학과에 유통 공급하고 있다.

한편 PDRN은 송어의 정자에서 추출한 저분자량 DNA 복합체로, 아데노신 A2A 수용체와 결합하여 염증성 사이토카인(세포 신호전달에 관여하는 단백질 물질) 분비를 감소시키고, 섬유아세포 및 내피세포의 증식을 자극해 조직을 재생한다. PDRN의 항염증 효과와 재생 메커니즘이 질환 치료에 도움이 되며, 급성기 복합부위 통증 증후군의 보조적 치료법으로도 쓰이고 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