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핫도그ㆍ소시지 마켓 2026년 910.3억弗
2019년 758.4억弗서 연평균 2.64% 성장 거듭 전망
이덕규 기자 abcd@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2-03-07 15:48   수정 2022.03.07 15:49


글로벌 핫도그 및 소시지 마켓이 오는 2026년에 910억3,100만 달러 규모로 비대해질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코로나19’ 이전이었던 지난 2019년에 758억3,900만 달러 규모에 도달했던 이 시장이 2021~2026년 기간 동안 연평균 2.64% 성장을 거듭할 것으로 예상된다는 것이다.

아일랜드 더블린에 소재한 국제적 시장조사기관 리서치&마켓은 4일 공개한 ‘핫도그 및 소시지 마켓: 2021년부터 2026년까지 전망’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이 내다봤다.

핫도그와 소시지는 일반적으로 다진 고기, 돼지고기, 쇠고기 및 가금육 등을 사용해 제조되고 있는 가운데 간식 뿐 아니라 빵과 곁들여 점심식사용으로도 폭넓게 소비되고 있는 식품이다.

보고서는 건강과 신체단련의 경계심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 힘입어 단백질 기반 식생활의 중요성이 인식도가 높아지고 있고, 이로 인해 세계 각국에서 육류 소비가 늘어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처럼 육류 소비가 늘어남에 따라 핫도그와 소시지 소비 또한 동반상승하고 있다고 보고서는 풀이했다.

게다가 간식(snacking)을 즐기는 식생활이 확산되면서 핫도그나 빵을 곁들인 소시지 섭취를 촉진하는 경향이 부각되고 있다고 언급했다.

패스트 푸드 및 즉석식품 업계의 견고한 성장 또한 핫도그‧소시지 마켓이 괄목할 만한 성장세를 이어가는 데 힘을 보탤 것으로 보고서는 예상했다.

하지만 천연물 기반 육류 대체식품 소비의 활성화와 동물질병의 확산은 핫소그‧소시지 마켓이 성장하는 데 걸림돌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추측했다.

보고서는 핫도그‧소시지 시장의 성장에 힘이 실리고 있는 주요한 이유의 하나로 활발한 육류 소비 추세와 함께 단백질 기반 식생활에 대한 인식확산을 꼽았다.

개발도상국가들의 육류 대량생산이 눈에 띄게 나타나면서 육류 추가생산량의 80%를 점유하기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점도 보고서는 빼놓지 않았다.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의 자료를 보면 세계 각국의 닭 도살건수가 지난 2014년의 618억3,000만 마리에서 2019년에는 690억1,000만 달러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돼지 도살건수 또한 2018년 14억8,000만 마리에 도달했지만, 여전히 전체적인 가축 수가 괄목할 만하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더욱이 쇠고기 소비량을 보면 차후 10년 뒤에는 7,600만톤에 달해 전체 육류 소비 증가량의 16% 안팎을 점유하게 될 것으로 예상했다.

마찬가지로 세계 각국의 돼지고기 소비량 또한 앞으로 10년 후에는 1억2,700만톤에 도달해 글로벌 육류시장의 28%(분량 기준)를 점유하게 될 것으로 예측했다.

이와 관련, 보고서가 인용한 FAO의 자료에 따르면 1인당 육류 소비량이 지난 2015년 41.3kg으로 나타났던 것이 오는 2026년에는 45.3kg으로 9.7%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그리고 이처럼 육류시장의 성장세가 예상기간 동안 핫도그 및 소시지 마켓이 확대되는 데도 힘을 보탤 것으로 보고서는 내다봤다.

한편 보고서는 핫도그‧소시지 마켓이 ‘코로나19’ 이전까지 괄목할 만한 성장세를 지속한 가운데 도시화 추세와 패스트 푸드 소비확대 등이 성장동력 역할을 하면서 지속적으로 상승곡선을 이어왔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코로나19’가 핫도그‧소시지 마켓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보고서는 강조했다.

‘코로나19’ 판데믹 상황이 이어지는 동안 육류식품 소비가 뒷걸음질쳤다는 것.

그 이유와 관련, 보고서는 외식업소와 호텔의 영업규제가 핫도그 및 소시지 소비가 감소하는 데 상당한 역할을 했다고 풀이했다.

또한 코로나바이러스의 확산을 막기 위한 규제조치의 일환으로 여행이 중단되면서 핫도그 및 소시지 마켓이 확대되는 데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육류 소비가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소비자들의 우려감도 육류 수요를 감소시키는 데 한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평가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