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바이오산업계에 코로나19 충격파가 가시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병원 환자 감소 등으로 산업계 주요 수익모델인 원외처방 실적이 안좋아지는 형국이다.
27일 의약품 시장조사 기관 유비케어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원외처방 실적은 3조 7,02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7% 상승했다. 코로나19 확산 초기인 1분기 병원 방문을 꺼리는 환자들이 고혈압·당뇨 등 반드시 복용해야 하는 약들을 장기처방 받으며 일시적으로 처방액이 증가했다는 분석이다.
그러나 2분기에는 상황이 뒤바꼈다. 2분기 원외처방 실적은 3조 6,474억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2.7% 감소했다. 지난 2014년부터 2018년까지 의약품 생산실적 규모가 연평균 6.5% 성장하고, 국내 시장 규모가 2014년 19조원 수준에서 2018년 23조원으로 꾸준히 확대됐다는 점을 감안하면 처방액 감소는 이례적인 일이다.
이와 관련, 유비케어는 지난 2월부터 4월까지 3개월 간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의료기관 처방 건수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2월은 7% 늘었으나, 3월은 22%, 4월은 36%가 각각 줄었다고 밝혔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한 방문 기피현상이 심각한 소아청소년과는 지난 4월 처방건수가 76%, 같은 달 이비인후과는 63% 각각 감소했다.
이 같은 환자 감소는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예견된 바 있다.
앞서 딜로이트는 코로나19 이후 병원을 찾는 환자수가 최대 46% 급감하면서 제약바이오산업도 최소 10%, 약 1조 8000억원의 매출 손실이 예측된다고 밝혔다. 의약품 시장조사 기관 아이큐비아는 올해 국내 제약바이오산업 성장률이 지난 5년 평균 8.6%에서 4.4%에 그치며 약 8000억원 규모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내다봤다.
실제로 2분기 처방액이 감소하며 제약바이오업계에서는 하반기 회복을 장담하지 못하고 있다. 코로나19로 정상적인 마케팅 활동이 어려운 데다 장기화되면 환자 감소세도 지속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A사 관계자는 “ 코로나19 여파로 특히 동네의원에서 환자가 큰 폭으로 줄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며 “ 비대면이 고착화되고 있어 개별 제약사 영업활동도 장기간 제약을 받을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B사 관계자는 “ 만성질환은 선방하고 있지만 호흡기계통은 개인 의약품 사용이 적지않게 줄고 있다”며 “ 현 시점에서 3분기를 예단하기는 어렵지만 불투명한 것만은 사실”이라고 전했다.
의약품 원외처방액 현황
단위 : 억원
2019년 1분기 |
2020년 1분기 |
증감률(%) |
2019년 2분기 |
2020년 2분기 |
증감률(%) |
36,041 |
37,029 |
2.7 |
37,474 |
36,474 |
-2.7 |
01 | 대한결핵 호흡기학회, 56세·66세 폐기능검사... |
02 | 동아제약, 위 건강 효능 입증 국산 '황해쑥'... |
03 | 한국비엔씨,알부바디 기술 이용 HER2 타깃 ... |
04 | 앱클론,카티 치료제 '네스페셀' 첨단바이오... |
05 | 580억원 베팅 받은 일리미스테라퓨틱스, 'IL... |
06 | 지씨씨엘, 글로벌 CRO 프론티지와 전세계 임... |
07 | 제일파마홀딩스·전 계열사, CP 강화 선포식-... |
08 | 유바이오로직스, RSV 백신 ‘EuRSV’ 임상1상 ... |
09 | 샤페론,GPCR표적 원형탈모 치료제 전임상서 ... |
10 | GC녹십자 자회사 ABO플라즈마, 혈장 공여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