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따른 바이오 쇼크 속에서 기대를 모았던 헬릭스미스의 당뇨병성 신경병증 유전자 치료제 ‘VM202’의 임상 3상 결과 발표가 연기됐다.
이와 관련 헬릭스미스는 24일 설명회를 개최하고 “VM202 임상 3상에 대한 유효성 결과 검토 중 PK(약동학) 데이터에서 중대한 결함이 발견됐다”며 “일부 플라시보군 환자의 혈액샘플에서 VM202가 검출됐고, 일부 VM202군 환자에서는 VM202 DNA의 양이 기대치 보다 매우 낮게 나와 플라시보와 VM202가 혼용된 가능성을 보였다”고 밝혔다.
이는 플라시보 효과를 크게 증가시키는 반면, VM202 약물의 효과는 크게 감소시키는 결과를 초래해 명확한 결론 도출을 불가능하게 만들었다는 것.
또한 “원래의 통계분석법에 따르면 ITT(intention-to-treat) 집단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보이지 않지만, ITT를 보정하면 약물 효과가 뚜렷이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보정은 환자를 선별하는 작업을 거치기 때문에 이로부터 나온 데이터는 regulatory(인허가) 차원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가능성이 높다”며 “이에 따라 정확한 결론은 그간 계획해왔던 후속임상 3상(3-2)이 종료된 이후에 내려지게 됐다”고 덧붙였다.
회사 측이 밝힌 VM202에 대한 DPN 3-1상 결과에 따르면 500명의 대규모 임상에서 9~12개월 장기 추적 관찰 결과 약물과 직접 관련된 대한 이상반응(SAE; Serious Adverse Event)은 없었고, 주사 부위 이상반응은 단 1건을 제외하고는 모두 경미(Grade 1)했다.
유효성과 관련해서는 위약과 VM202의 혼용 또는 분석 시 오류 가능성 때문에 인허가 관점에서 최종 결론을 도출하는 것이 불가능한 상황이며, 명백히 잘못된 환자를 제외하거나 잘 관리된 사이트를 선별해 분석한 결과가 있긴 하지만 환자를 선별해 분석하는 것이기 때문에 확실성을 담보할 수 없다는 의견이다.
헬릭스미스는 “임상 1상·2상 및 실험실 결과와 MOA를 감안하고 adjusted ITT 결과를 볼 때 후속 3상은 반드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전제하고 “편향된 해석을 경계하며 3-1상 결과를 철저히 분석해 최대한 많은 정보를 수집해 다음 3상을 개선하는 한편, 후속 3상에서 프로토콜 정비(예 : BMI 등 고려), 철저한 clinical QA 적용, 플라시보 효과 최소화 등을 고려한 임상운영 체계를 도입해 실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헬릭스미스는 올해 연말 FDA 미팅 이후 150~200명 규모의 2~3개 3상 임상을 진행해 2022년 하반기 허가신청서(BLA)를 신청할 계획이다.
또한 ‘통증 감소 효과’를 명백하게 확인하기 위해 1차 지표를 180일 통증 감소로 잡고, 가바펜틴과 프레가발린 복용환자를 제외하는 방법도 고려하는 한편 재생효과를 증명하는 장기(동시 혹은 별도) 임상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미국 임상조직 재구성, 플라시보 효과 최소화를 위한 계획 마련, 데이터 품질을 실시간으로 점검할 수 있는 electronic 시스템 도입 등 최고의 data quality 확보를 위해 모든 방안을 동원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