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O 투잡 영업사원' 여진 지속..제약사,불안 커지며 은밀히 조사
리베이트 창구 역할 곱지 않은 시각 더해 불신 추가...공익신고 잇따라
이권구 기자 kwon9@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19-07-25 06:30   수정 2019.08.07 16:10

CSO(영업판매대행)를 통한 제약사 '투 잡 영업사원' 여진이 이어지고 있다.

제약계에 따르면 A사는 최근 ‘투 잡’(직장 다니면서 추가로 타사 제품 영업)  직원들을  대규모로  정리하면서 이 건을 마무리했다. 이들은  CSO 업체로부터 받은 은밀한 거래유혹을  뿌리치지  못하고  회사  취업규칙을 어겨 정리된 것으로 알려졌다.

상도를 어기면서까지 돈 유혹에 넘어갔다는 점에서 안타까움도 산, 이 회사 건이 마무리되며  ‘영업사원 CSO 투잡’ 건은 일단락된 것으로 회자됐다.

하지만 이 문제를 계기로 다른 제약사들도 ‘투잡 영업사원’에 대한 은밀한 조사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방치 시 확산되며 매출 타격, 리베이트 연루 등 회사가 큰 피해를 입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우려 때문이다.

업계에서는 적발시 A사와는 다르게 진행될 것으로 보고 있다.

A사 경우 큰 잡음 없이 회사를 나가는 선에서 원만히 정리됐지만, 다른 회사들 경우 ‘투잡 영업사원’ 적발시 정도에 따른 조치가 강하게 취해질 가능성도 있다는 분석이다.

'투잡 영업사원‘이  등장하며 본연 역할에서 벗어나 ’리베이트 창구‘ 의혹을 받고 있는 CSO에 대한 불신 시각도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불미스런일이 생겼을 경우 지금까지는 계약을 맺고 활용(?)한 회사 자체가 감당하고 해결해야 할 문제였지만, 영업사원까지 연루되며 CSO에 대한 곱지 않은 시각이 추가로 보태지는 분위기다.

우려가 커지며 CSO에 대한 신고도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수사기관에 불법 CSO 업체에  대한  공익신고가 잇따르며 수사기관이 법리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 한 관계자는 “ 영업사원이 넘어가서도 안되지만 영업사원 유혹은 회사 내부 불신까지 야기하는 문제”라며 “ 리베이트 전달자 역할을 하는 일부 CSO들로 선의의 CSO들과 제약사들이 피해를 보고 있는데, 리베이트를 떠나 이를 막기 위해서라도 부당한 행동을 하는 CSO에 대한 강력한 조치가 나와야 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