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네릭 난립방지를 위한 전방위적 접근이 제약사 구조조정과 연구개발 '드라이브'로 연결될 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제네릭 홍수 속에서 자사 제품 처방을 위한 경쟁이 리베이트로 연결되고 있다는 공감대 아래 진행되고 있는 대책마련 작업 결과물 도출이 초읽기에 들어간 것으로 파악되기 때문이다.
일단 업계에서는 공동생동 위탁생동 금지 및 제네릭 수 제한 등을 포함해 어떤 식으로든 제네릭 난립과 관련한 대책이 나오면 제약사 구조조정이 뒤따를 것으로 보고 있다.
제네릭 품목조정은 '제네릭'을 큰 재제없이 생산하고, 주로 CSO(영업판매대행)를 활용해 매출을 창출하는 경영을 해 온 제약사(특히 중소제약사)들에게 직격타를 날릴 것이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실제 '리베이트 척결'이라는 대명제가 제약계를 휘몰아치며 다수 제약사들이 손을 놓을 때, 일부 제약사들은 공동 위탁생동 등을 통해 다수 확보한 제네릭을 바탕으로 오히려 더 세게 리베이트에 나섰다는 게 제약계 판단이다. 하지만 확보할 수 있는 제네릭이 제한되고, 또 남보다 먼저 제네릭을 확보할 수 있는 능력도 갖추지 못하면, 경쟁력을 상실하고 이는 제약계 전반에 걸친 구조조정으로 연결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연구개발 강화도 이 맥락에서 나오고 있다.
제네릭과 CSO에 대한 압박이 지속될 경우 제네릭으로 만으로는 생존하기 힘들다는 게 제약업계 전반적인 시각이다. 지금까지는 연구개발을 등한시해도 생존은 가능했지만, 앞으로는 연구개발에 '적극' 나서지 않으면 시장에서 경쟁할 수 없을 것이라는 지적이다.
실제 업계에서는 영업 마케팅 규제가 갈수록 타이트해지고 있지만, 강화된 틀 속에서 법에 저촉되지 않고 영업 마케팅을 하는 것도 자기 제품이 있어야 가능하다고 말하고 있다.
예로 최근 제약사들 사이에서 퍼지고 있는 '숙박 마케팅'(호텔 등에 의사를 초청해 1박 머무르며 자사 제품 등 소개, 공정경쟁규약에 저촉되지 않음)도 신약이든 개량신약이든 자기 제품이 있어야 실행에 옮길 수 있다는 분석이다.
제약계 한 인사는 " 난립한 제네릭과 CSO에 대한 대책이 나오고 여기에 리베이트에 대한 압박도 강해지면 제네릭 메리트는 지금보다 떨어질 것이고, 제네릭 위주 제약사들이 생존하기 위해서라도 연구개발에 나설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당장 중소제약사 오너들도 연구개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분위기다. 다만 장시간에 걸쳐 상당한 돈이 투자돼야 한다는 점에서, 임상3상에서 판매가능한 기술 사입을 검토하거나 희귀의약품 등을 예의주시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업계에서도 당장은 연구개발이 힘들고 단기간 내 결과물을 얻기도 힘들지만, 목표물을 향해 끊임없이 차고 던져야 '골' 및 '과녁'에 가까워질 수 있기 때문에, 도전은 빠를 수록 좋다고 보고 있다.
다른 제약사 관계자는 "지금 제네릭 위주 중소제약사들 가장 큰 고민 중 하나가 연구개발로, 오너들도 앞으로 제네릭 만으로 살기 힘들다는 것을 안다. 하지만 연구개발 투입 비용 예측이 어려워 걱정을 많이 하며 선뜻 나서지 못하고 있다"며 " 하지만 연구개발은 당장 성과가 나는 것은 아니다. 지금부터라도 준비를 해야 그나마 미래를 대비할 수 있는 것이지 마냥 재면 낙오자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01 | 진매트릭스, 네오플렉스 분자진단제품군 유... |
02 | 메디오젠, GLP-1 분비 촉진 유산균 B. lacti... |
03 | 엔젠바이오·코스맥스바이오,유전자 데이터 ... |
04 | 경희대 진성훈 교수팀, 급성 구획 증후군 조... |
05 | 아리바이오, 국산 필러 340억 원 규모 수출... |
06 | 보로노이,'VRN04' 프로그램 연구옵션 행사-... |
07 | 더인벤션랩, AI 기반 디지털 헬스케어 스타... |
08 |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창립 80주년 기념식 10... |
09 | [기업분석] 한국비엔씨 상반기 매출 501억…... |
10 | [기업분석] 아이큐어 상반기 매출 474억…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