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미약품이 개발한 플랫폼 기술 ‘랩스커버리’가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랩스커버리는 바이오의약품 약효 주기를 획기적으로 늘려주는 기반 기술로, 한미약품은 이 기술을 적용해 비만∙당뇨치료 분야에서 NASH(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치료제), 퇴행성 신경질환, 희귀질환 치료 혁신신약으로 개발 영역을 넓히고 있다. 특히 랩스커버리가 적용된 비만∙당뇨치료 혁신신약 후보물질들은 글로벌 제약기업인 사노피와 얀센에 각각 라이선싱돼 상용화를 위한 개발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한미약품은 지난 1일부터 5일까지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제54회 유럽당뇨병학회(EASD)에서랩스커버리 기술을 적용한 신약 후보물질 LAPSTriple Agonist 등 연구결과 8건을 발표했다.
현재 임상 1상이 진행 중인 LAPSTriple Agonist는 체내 에너지 대사량을 증가시키는 글루카곤과 인슐린 분비 및 식욕억제를 돕는 GLP-1, 인슐린 분비 및 항염증 작용을 하는 GIP수용체들을 동시에 활성화하는 바이오신약 후보물질로,이번에 4건이 구연 및 포스터로 발표됐다.
구연발표에 따르면, 비만 동물모델에서 간 지질대사 촉진과 혈중 지질 수치의 획기적 개선 효과가 확인됐으며,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동물모델에서 지방간을 비롯해 간염증 및 섬유화 개선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파킨슨병 및 당뇨병성 알츠하이머 치매 동물모델에서는 신경보호 및 증상개선 효과가 추가 확인돼 근본적 치료제가 없는 퇴행성신경질환에 대한 치료 가능성을 제시했다.
한미약품은 이번 학회에서 사노피와 공동으로 에페글레나타이드 우수성을 입증한 4가지 연구결과도 발표했다. 에페글레나타이드는 한미약품이 개발한 지속형 GLP-1 계열 당뇨치료 바이오신약으로, 2015년 사노피에 라이선싱돼 현재 글로벌 임상 3상이 동시다발적으로 진행 중이다.
발표에 따르면, 에페글레나타이드는 당뇨 및 비만 동물 모델에서경쟁약물(리라글루타이드, 둘라글루타이드) 대비 당 조절 및 체중감소 효과, 인슐린 저항성이 개선됐다.
제2형 당뇨병환자(EXCEED-203) 및 당뇨병을 동반하지 않은 비만 환자(BALANCE-205)대상 글로벌 2상에서는 위약군 대비 혈당 및 체중조절 효과와 더불어 지질 개선에서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냈으며, 안전성은 기존 GLP-1계열 약물과 동일한 수준임을 입증했다.
한미약품 권세창 대표이사는 “ LAPSTriple Agonist, 에페글레나타이드 등 랩스커버리를 적용한 다양한 신약들이 활발한 연구를 통해 혁신 치료제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며 "질병으로 고통받는 전세계 환자들을 위해 상용화를 앞당기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EASD는 130여개국, 1만 8000여명의 당뇨병 관련 의사 및 의료 관계자가 참석하는 세계적 권위의 당뇨학회로, 매년 9~10월 유럽 주요 도시에서 개최된다.
01 | 하엘, 푸단대와 손잡고 주름 개선 신물질 ‘E... |
02 | 명인제약, 청약 증거금 17조 3,634억원…경쟁... |
03 | 차바이오텍 CGT 전초기지 '마티카바이오', ... |
04 | SK케미칼, 2200억원 규모 교환사채 발행 결... |
05 | 메디톡스, 콜산 성분 지방분해주사제 ‘뉴비... |
06 | K-뷰티, 글로벌 확장 속 과제는 ‘변화 대응’ |
07 | 종근당, 국내 제약업계 최초 AI 기반 지능형... |
08 | “CGT 혁신, 글로벌서 해법 찾다” 차바이오 '... |
09 | 티앤알바이오팹, ‘바이닥터엘리’와 미국 하... |
10 | 유한양행, 오송 신공장 기공… 글로벌 수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