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진 연구자의 아이디어가 정책으로 연결되는 규제과학 생태계 구축을 위한 ‘제3회 규제과학 연구 우수제안 경진대회’가 17일 서울 중구 포스트타워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이 주최하고, 재단법인 한국규제과학센터(센터장 박인숙)가 주관한 이번 대회는 식품·의약품·의료기기 분야의 규제혁신을 위한 청년 과학자들의 창의적인 제안을 선보이는 장이 됐다.
올해로 3회를 맞은 이번 대회는 단순한 아이디어 공모전을 넘어, 식약처 실무자와의 1:1 멘토링, 정책 연계 가능성 평가 등 현장 밀착형 프로그램으로 발전하며 명실상부한 규제과학 인재양성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특히 본선 진출자들은 ‘식약처 실무 전문가 코칭 프로그램’을 통해 연구 제안의 정책적 활용 가능성을 높였고, 최종 본선에 진출한 5개 팀은 이날 열띤 발표를 통해 실력을 겨뤘다.
심사위원장으로는 식약처 의약품심사부장을 역임한 김영림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장이 참여해 전문성과 공정성을 더했다.
![]() |
김 위원장은 “기존 과제와의 차별성, 문제 해결을 위한 도전정신, 정책 활용도 등을 주요 기준으로 평가했다”며 “정책과 실무에 바로 접목 가능한 제안들이 다수 나와, 규제과학 분야에서의 실질적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총평했다.
최종 수상자 명단도 눈길을 끈다. 대상을 수상한 동국대학교 꿀꺽팀(신승혁, 박건량)은 ‘환자 친화적 경구용 고형제 개발을 위한 고려사항’을 주제로 탁월한 실현 가능성과 창의성을 인정받았다.
신승혁 학생은 “현장에서 바로 쓸 수 있는 제안을 만든다는 것이 매우 인상적이었다”며 “식약처 실무자들과의 멘토링을 통해 아이디어를 구체화할 수 있었다”고 소감을 밝혔다.
최우수상은 고려대학교 홍삼보다 빠르게팀(홍준석, 정민서)이 수상했으며, 건강기능식품의 동시기능성 평가 프로세스를 제안해 혁신적 접근을 인정받았다. 그 외에도 ▲우수상 동국대학교 김승희(의료기기 사이버보안 검증 알고리즘), ▲장려상 아주대학교 정세원팀(의약품 부작용 국제조화 및 머신러닝 활용), 중앙대학교 송혜원(굴 위생관리 기준 개선) 등 다양하고 현실성 있는 주제가 주목을 받았다.
이번 대회에는 전국 6개 규제과학 인재양성대학 8개 학과에서 총 14개 팀이 참가했다. 본선에는 서면 예선을 통과한 5개 팀이 진출했으며, 각 팀은 15분 발표와 15분 질의응답으로 심사위원과 참관객 앞에서 치열한 경쟁을 펼쳤다. 비가 쏟아지는 날씨 속에서도 참석자들의 열정은 식지 않았으며, 특히 발표 순서 변경에도 불구하고 참가자 모두가 뛰어난 발표력을 선보였다.
박인숙 센터장은 개회사에서 “본 대회는 단순한 제안 공모를 넘어, 신진 연구자들의 아이디어가 정책과 제도 개선으로 이어지는 실질적인 플랫폼으로 기능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규제과학 인재양성대학, 산업계, 규제기관을 잇는 허브로서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행사에는 식약처 실무진을 비롯해 김윤미 변호사(전 식약처 수입식품안전본부장), 정희규 고문(전 의료기기안전정보원장), 최승준 교수(서울과학기술대), 이승민 교수(한국식품연구원), 이순호 과장(식약처 영양기능연구과) 등 각계 전문가들이 심사위원으로 참여해 전문적인 평가와 피드백을 제공했다.
이번 경진대회는 단순한 연구 경합을 넘어, 신진 인재와 정책 실무자가 만나는 ‘미래 규제 혁신의 시발점’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01 | 오스코텍,차세대 항암신약 'OCT-598' 임상1... |
02 | 고령층 폐렴, 중등도 이상 65%…심평원 "진료... |
03 | CJ올리브영, 북미 최대 뷰티 박람회 '코스모... |
04 | 딥큐어, 복강경 RDN '하이퍼큐어' 심방세동... |
05 |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단-국가독성과학... |
06 | 에이치이엠파마, 세종공장 준공…“글로벌 헬... |
07 | SK바사-사노피 공동개발 폐렴구균 단백접합 ... |
08 | 경동제약,제제 기술력 기반 제네릭 개발 강... |
09 | 삼성바이오에피스, 미국 해로우와 안과질환 ... |
10 | 여름 휴가 때 챙겨야 할 필수 상비약은? |
한국의 인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