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이달말 정점? 내주쯤 치료제 부족 풀릴 듯
질병청 “치료제 구하기 어려운 일부 지역 고령환자는 보건소 이용해달라” 당부
이주영 기자 jylee@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4-08-21 13:53   
지영미 질병청장이 21일 코로나19 발생 동향 브리핑에서 치료제 수급 계획을 설명하고 있다. © 질병관리청

잦아들던 코로나19 불씨가 다시 살아나면서 치료제 수급에 비상이 걸렸다. 정부는 치료제 수급을 위한 예비비 편성과 글로벌 제약사와의 협의를 통해 약제 도입 일정을 앞당겨 사태 수습에 나서고 있다고 전했다.

질병관리청 지영미 청장은 21일 열린 ‘코로나19 발생 동향 및 대응방안 브리핑’에서 “올해 여름철 유행은 8월말 정점에 도달할 것으로 보이고 유행 규모는 지난해와 유사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치료제는 예비비 3268억원을 확보해 26만명분 이상을 추가 구매했으며, 글로벌 제약사와 협의를 통해 다음주 월요일에 17만7000명분이 공급되도록 일정과 물량을 앞당겼다”고 밝혔다.

질병청은 사태 수습에 속도를 높이면서도 현재 유행 상황이 지난 3년간 지속된 코로나19 대유행과 같은 위기 상황은 아니라고 판단하고 있다. 코로나19가 엔데믹화되는 과정의 일환으로 보고 있는 만큼, 위기 단계를 올리지 않고 현행 의료체계 내에서 관리한다는 입장이다.

질병청에 따르면 이번 코로나19 재유행은 지난 6우러말부터 시작해 8월 2주차 표본감시 입원환자수가 올해 가장 높은 수준을 보이며, 예년 정점수준과 비슷한 규모로 8월말까지 증가한 후 점차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번 유행은 코로나19 유행이 크지 않았던 지난 겨울 코로나19 예방접종률이 인플루엔자 예방접종률보다 상대적으로 낮았던 점, 새로 출현한 KP.3의 점유율의 지속적 상승, 여름철 에어컨 사용으로 인한 실내환기 부족, 휴가철 이동량 증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질병청은 코로나19 치명률을 계절독감과 유사한 것으로 보면서도 고령층의 집중적 보호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지영미 청장은 “60세 이상부터는 치명률이 높아지고 특히 80세 이상은 1.75%로 급격히 높아진다”며 고령층 감염 예방에 주의를 요구했다.

이를 위해 질병청은 요양병원과 장기요양기관 등 감염취약시설을 집중관리하기 위한 합동전담대응기구를 지속 운영한다고 전했다. 환자 발생 초기부터 시설‧보건소 합동 관리를 시행하고, 집단발생 시 현장 역학조사를 통한 감염관리 상황 점검 등 감염취약시설을 적극 관리하고 있다는 것. 특히 고위험군의 빠른 진료를 위해 자가진단키트와 치료제의 안정적 공급을 위해 애쓰겠다고 밝혔다.

지 청장은 “진단키트 제조업체는 생산량을 확대하고 있고 이달 중에 500만개 이상 생산할 계획”이라며 “치료제 도입은 예상보다 빨라져 현장에서 좀더 빨리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손영래 감염병위기관리국장은 의료기관이나 약국에서 먹는 치료제가 부족한 일부 지역에 대해 “치료제 공급량을 늘리면서 지역으로 내보내고 있지만, 일부 지역 약국에는 재고가 부족할 수 있다”며 “이 경우 해당 지역 보건소에 문의하셔서 약을 타거나 보건소에서 가까운 의약품 보유 약국에서 약을 수령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질병청은 이번에 추가확보한 치료제 물량이 오는 10월까지 고위험군에게 안정적으로 공급될 예정이며, 이후 일반의료체계 내에서 치료제가 공급될 수 있도록 건강보험 등재를 소관부처와 함께 신속 추진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