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의료제품 허가와 정책 수립 간 연계를 강화하기 위해 의료제품 허가부서 조직과 기능을 7일 개편한다고 3일 전했다.
이에 따라 차장 직속 조직으로 허가를 담당하던 ‘허가총괄담당관’과 ‘첨단제품허가담당관’은 폐지하고, 의약품안전국 내 ‘의약품허가총괄과’, 의료기기안전국 내 ‘의료기기허가과’, 바이오생약국 바이오의약품정책과 내 ‘바이오허가팀(임시조직)’ 이 신설된다.
◇허가부서 조직개편
조직을 개편함에 따라 의약품 및 융복합 의료제품은 의약품안전국에서, 바이오의약품(생약(한약)제제 및 의약외품 포함)은 바이오생약국에서, 의료기기는 의료기기안전국에서 허가를 담당하게 된다.
이번 개편으로 각 정책‧사업국에서 제품별 제조·수입 품목허가, 정책 수립‧적용, 안전관리 등 업무를 종합적으로 수행함으로써, 허가와 정책 사이의 연계성을 강화하여 전문성을 높일 계획이다. 이를 통해 식약처는 AI 적용 등 신개념·신기술 의료제품에 대한 효율적인 허가체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허가부서 기능 개편
허가‧심사 기능을 수요자 중심으로 개편한다. 주요 내용은 △혁신제품 상담창구를 사전상담과로 일원화 △허가‧심사 조정을 위한 “허가‧심사 조정협의체” 신설 △허가‧심사 정기 품질평가를 통한 허가‧심사 정책개선 선순환 시스템 구축 등이다.
우선 혁신제품 상담창구와 사전상담과의 일원화를 통해 신약 등 혁신 의료제품 개발자는 신속하게 상담 부서를 지정받을 수 있다. 아울러 식약처는 상담 이력을 더욱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상담과 허가‧심사 간 연계성을 강화할 계획이다.
다음으로, 허가・심사 과정 중 발생한 보완 등에 대해 신청인이 직접 조정을 요청할 수 있는 공식 창구인 “의약품 허가・심사 조정협의체”를 시범 운영한다.
협의체는 의약품안전국장이 주관하고 내외부 전문가가 위원으로 참여하며, 신청인의 조정요청 사항을 중립적으로 검토‧조정한다. 이번 시범운영 결과를 평가한 후 앞으로 바이오, 의료기기 등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아울러 허가‧심사 정기 품질평가를 통한 허가‧심사 정책개선 선순환 시스템이 구축될 예정이다.
식약처는 정기적으로 허가‧심사에 대한 품질평가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정책 부서와 공유하여 허가‧심사 정책을 지속 보완‧개선할 수 있는 선순환 시스템을 구축한다. 이를 활용하여 규제를 선제적으로 혁신하며 정책환경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참고로, 이번 허가부서 개편에 따라 의료제품 허가 신청 민원의 처리부서 이관 등 민원처리시스템 정비도 진행된다. 5월 6일 하루 동안 의료제품 민원처리시스템의 전자민원창구 등 일부 기능이 중지되며, 상세한 내용은 각 민원처리시스템 내 공지 사항 및 알림창을 참고하면 된다.
식약처는 이번 허가부서 개편으로 △사전상담 접근 편의성‧예측성 제고 △허가‧심사 결과에 대한 신뢰성‧예측성‧수용성 향상 △제품화 지원을 위한 허가심사 신속성 증대 등의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안전하고 효과 있는 의료제품을 신속하게 허가하여 국민 안전을 보장하고, 국내 개발 의료제품이 세계 시장을 주도할 수 있도록 혁신적인 정책을 추진하여 산업도 든든하게 지원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01 | 넥스트바이오메디컬, 'Nexsphere-F' 미국 FD... |
02 | '2025 KDDF 사이언스 컨퍼런스' 개최…혁신기... |
03 | 현대바이오,일본 JBP와 원숭이 두창 치료제 ... |
04 | 오가노이드사이언스, 동남아 재생의료 진출 ... |
05 | 차 의과학대,제 14대 총장 서영거 교수 선임 |
06 | ‘넥스트 유니콘은 AI’... 투자 시장 이끄는... |
07 | “엘앤씨바이오, 1조 CAPA 기반 중국 시장 ... |
08 | 로킷제노믹스, ‘유전체 미래기술 심포지엄’... |
09 | 신신파스 아렉스, 2025 올해의 브랜드 대상…... |
10 | 유씨엘, ‘솔잎 발효 화장품 조성물’ 특허 등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