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부적절한 다약제 감소 위해 노인주치의제 도입해야"
국민 대상 의료소비자 운동 선결돼야...의료전달체계, 수가제도 등도 개선 필요
이상훈 기자 jianhs@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3-02-21 14:59   
노인의 부적절한 다약제 감소를 위해 노인주치의제 도입을 적극 검토하자는 주장이 나와 관심이 쏠리고 있다.
 
김성환, 신현영, 이용빈, 이용우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이 21일 국회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대한가정의학회, 국민건강보험공단과 함께 개최한 ‘초고령사회 노인의료정책의 해법:노인주치의제’ 공청회에서 강재헌 교수(대한가정의학회 정책이사)는 발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강재헌 교수는 “기대수명과 건강수명 격차가 커지고 생활환경의 변화, 비만율 증가, 인구 고령화 등으로 만성질환자 수가 늘고 있다”며 “이로 인해 많은 약을 복용하는 노령 인구가 증가하는데 약물불일치와 부작용 위험이 커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강 교수는 “다약제 부작용으로 심각한 경우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고 전하고 “약물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모든 약물의 이름, 용량, 사용 빈도 등을 정확하게 기록하고 의사와 상의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노인 다약제 복용으로 인한 사회 경제적 비용도 막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IMS보건의료정보학 연구소에 따르면 전 세계에서 부적절한 약물 사용으로 발생하는 비용은 연간 420억달러에 달한다. 이는 전체 의료비의 0.7%를 차지한다.
 
미국에서만 연간 200만건의 약물유해반응이 발생하고 10만명이 사망한다. 의약품 부작용은 사망원인 4~6위에 해당할 정도다. 관련 의료비용도 연간 48조원으로 추정하고 있다.
 
강 교수는 다약제 관리를 위해 노인주치의제도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강 교수는 “노인주치의제가 생기면 응급실 방문 빈도 및 불 필요한 입원, 요양시설 입소가 감소하며, 다약제 복용 및 만성복합질환 통합관리가 가능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제도참여 방식 △주치의, 간호사 등 인력의 자격과 교육 △등록 및 전달체계 △제공해야 할 서비스 △지불보상 방식 △재원조달방법 △조직 및 관리운영 등을 우선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강 교수는 “노인주치의제는 한국보건의료의 많은 현안을 해결할 수 있는 제도이지만 지금까지도 실현이 되지 않았던 것은, 국민들이 노인주치의제도 필요성을 알 수 있을 만큼 경험을 전혀 할 수 없었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강 교수는 “따라서 노인주치의제가 성공적으로 정착하기 위해선 의료소비자 운동이 선결돼야 하며, 이어 의료전달체계 정비, 수가제도 개혁, 역량 있는 의사 양성, 팀 접근을 위한 간호사, 소셜워커 등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