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당국이 코로나19에 대해 한의학을 활용할 수 있지 않는냐는 물음에 현재로서는 검토 대상이 아니라고 밝혔다.
중앙사고수습본부 손영래 전략기획반장은 29일 코로나19 오전 정례브리핑 질의응답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날 질의에서는 한의학의 코로나19 치료 적용 가능성에 대한 물음이 나왔다.
중국에서 시진핑 주석의 지시로 코로나 초기부터 환자에게 중의학과 서양의학의 결합치료를 시행하고 있다고 알려져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한의학이 배제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이에 대해 손영래 전략기획반장은 "현재 코로나19 치료에 대해서는 사실 신종 감염병이라고 하는 특성 때문에 치료법을 계속 확립해 나가는 단계에 있다"며 "세계적으로도 그렇고 우리나라도 그렇고 보다 유효한 치료법을 하나하나 차근차근 개발해 나가면서 관련 의료계에서는 프로토콜을 형성시키고 그 프로토콜을 점점 발전하면서 치료를 하고 있는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현재 그러한 부분들에 있어서 사실 상반기부터 시작된 치명률도 월이 지남에 따라서 점점 치명률이 낮아지는 치료 실적이 좀 더 개선되는 효과들을 보고 있는 중인데, 앞으로도 계속 이런 치료방법들은 새로운 치료제나 보조적인 치료기법의 개발과 함께 발전해 갈 것으로 생각된다"고 덧붙였다.
손 반장은 "현재 우선 지금 세계적인 어떤 치료법의 확립과 발맞추어서 표준적인 치료법들을 확립하는 가운데 한의학 쪽에서의 치료효과에 대한 동참 가능성들은 좀 더 함께 검토해 보기로 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지금 현재로서는 세계적인 어떤 그런 대응체계에 대한 동향들과 함께 의료계가 치료체계를 정비하고 치료기법들을 개발하는 중"이라며 "우선 가장 표준적이고 확실하게 효과가 있다고 검증되는 치료법부터 먼저 치료법으로 적용시키고 있다는 점을 설명드리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