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가 항암제에 대한 급여화를 두고 확대와 재정우려가 공존하는 가운데, 정부 협의체를 통해 이를 조율하기 위한 대안이 마련될 예정이다.
22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현재 보건복지부와 건강보험공단, 심사평가원을 비롯한 정부부처와 암 관련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협의체가 운영되고 있다.
심사평가원 관계자는 "항암제 급여를 어떻게 확대할 지에 대해 암종별 확대나 2차 약제를 1차약제로 가져오려는 이슈 등 여러 논의점이 있는데, 이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정부(복지부)와 심사평가원, 건보공단과 암 관련 전문가들을 모시고 대안을 찾기 위해 협의체를 꾸렸다"고 설명했다.
항암제는 환자 및 제약사로부터의 급여 확대 목소리와, 항암제에 투입되는 고가 건강보험 재정에 대한 약제비 부담 및 효과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꾸준히 제기돼 왔다.
그동안 평행선을 이루고, 때로는 약가협상 결렬까지 발생해온 (건보 재정 중심의)항암제 급여확대 논의에 대해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정부가 산하기관과 머리를 맞대고 대안을 제시하겠다는 것.
심평원 관계자는 "협의체는 재정을 포함한 고가항암제 급여 확대 부분에 대해 컴토하고 여러가지 방법을 논의 중"이라며 "암질환심의위원회(암질심)를 기본으로 공단·심평원·복지부가 협의체에서 논의 중이고 3~4차 회의를 거쳐 도출된 내용을 정리해 암질환심의위원회에 심의 안건으로 상정하려 한다"고 계획을 밝혔다.
이어 "구체적인 논의 내용이나 방법은 설명하기 어렵다"면서 "키트루다 등 항암제가 공단과의 약가협상이 불발되는 사안에 대한 대응책 등도 포함돼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