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AI 신약개발 플랫폼 구축사업 실시
4차 산업혁명 헬스케어 발전전략…헬스케어 빅데이터 생산·관리 시범체계도
이승덕 기자 duck4775@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18-12-10 14:35   수정 2018.12.10 15:52
내년부터 전 단계에 활용할 수 있는 단계별 인공지능(AI) 신약개발 플랫폼이 구축된다.

헬스케어 빅데이터 생산·관리 시범체계 운영과 스마트 임상시험 체계 구축도 함께 이뤄진다.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관계부처와 합동으로 10일 대통령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제9차 회의(10시, 서울 광화문 회의실) 심의를 거쳐 '4차 산업혁명 기반 헬스케어 발전전략'을 확정‧발표했다.

'4차 산업혁명 기반 헬스케어 발전전략'은 '세계 시장을 선도하는 우리 기술로 누구나 건강한 사회 구현'을 비전으로 △헬스케어 빅데이터 생산·관리 시범체계 운영, △인공지능 활용 신약개발, △스마트 임상시험 체계 구축, △스마트 융복합 의료기기 개발, △헬스케어 산업 혁신 생태계 조성 과제를 도출하고 그 세부 추진전략을 다음과 같이 마련했다.

헬스케어 빅데이터 생산·관리 시범체계: 일반인, 암생존자 등 300명의 건강·의료·유전체 데이터를  통합·분석해 헬스케어 빅데이터 활용경험을 축적하고 표준개발에 활용하기 위한 ‘헬스케어 빅데이터 쇼케이스 사업’을 추진(2019~2021)한다.

모집 대상은 일반인, 생활습관개선 대상자, 암생존자 각 100명으로 구성돼 있으며, 2019년 본인 동의체계 개발 및 참여자 모집·데이터(자료) 생산, 2020년 데이터 통합전송 관리기술 표준화, 2021년 연구·기술·서비스 개발 순으로 진행된다.

AI 신약개발 플랫폼 구축: 인공지능을 신약개발에 활용해 신약개발을 위한 기간‧비용을 단축하는 등 국가적 신약개발 역량을 제고한다.

'인공지능 신약개발 기반(플랫폼) 구축사업'(2019~2021)을 통해, 후보물질 발굴, 전임상시험, 스마트 약물감시 등 신약개발 전 단계에 활용가능한 단계별 인공지능 플랫폼을 개발할 계획이다.

또한, 인공지능 플랫폼을 활용하고 관련 빅데이터를 수집·관리할 수 있는 신약개발 전문인력 양성을 병행하고, 인공지능 플랫폼을 활용하여 직접 연구를 수행할 제약사 내부인력 전문화 교육을 추진할 계획이다. 

스마트 임상시험 구축사업: 차세대 임상시험관리시스템(Clinical Trial Management System, CTMS) 개발을 통해 임상시험 센터별 각기 다른 관리시스템을 통일된 형식으로 전환(2021~)하고, 차세대 임상시험 신기술 개발을 추진(2019~2021)해 임상시험 효율성 및 품질을 향상시킨다.

또한, 다기관 임상시험 수행 시 'IRB(Instituional Review Board) 심사 상호인증' 제도를 시범운영(2019~2021)하고, 혁신형 제약기업의 신약 개발 승인·허가 기간을 단축하는 등 임상시험 단계별 제도개선을 추진한다.

스마트 융복합 의료기기 개발 전주기 지원체계: 빅데이터, AI, 3D프린팅 등 新개념 의료기기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범부처 연구개발(R&D) 사업을 추진한다.

병원 수요를 반영한 구매조건부 R&D 프로그램 도입, 국내 대형병원 시범사용 등 국산 융복합 의료기기 판로 확대를 지원한다.

또한, 신의료기술평가 제도를 개선하여 혁신의료기술의 잠재가치를 평가하는 별도의 평가체계를 구축하고(2018년 11월 ~ 시범사업), 체외진단기기 신의료기술평가는 사후평가방식으로 전환(2019년 1월~)한다.

헬스케어 산업 생태계 조성: 기술확보에서 창업, 성장, 투자회수를 거쳐 재투자까지 유기적으로 연계되는 역동적인 헬스케어산업 생태계를 조성한다.

지역 바이오헬스 클러스터(단지)와 지방거점 병원을 연계하고, 병원․기업 간 공동연구 확산을 위한 개방형 실험실(Field Lab) 구축을 지원하여 개방형 혁신(Open-Innovation)을 가속화할 예정이다.

기초과학·정보기술(IT) 등 타 학문 지식·연구방법론을 체득한 융합형 의사과학자를 양성하고 MD·Ph.D 공동연구 지원을 확대하여 헬스케어 혁신을 선도할 현장·연구 전문인력을 양성한다.

보건산업 혁신 창업센터를 통해 창업기업 밀착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보건산업 창업기업 실태조사'를 정례화해 정책개발의 효과성을 높일 계획이다.

복지부 임숙영 보건산업정책과장은 "내년도 신규 사업 및 제도 개선 확정 과제는 일정에 따라 추진하고, 추가적인 논의를 거쳐 계획 구체화·신규 사업 개발이 필요한 과제는 소관 부처 검토를 거쳐 계속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