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산업혁신창업센터' 지원목표 현실화 필요
기동민 의원 지적…예산확보, 타기관 협업 강화해야
이승덕 기자 duck4775@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18-10-16 16:13   수정 2018.10.16 16:19
더불어민주당 기동민 의원은 16일 보건산업진흥원 국정감사를 통해 지난 3월 출범한 보건산업혁신창업센터의 지원목표를 현실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기 의원에 따르면, 보건산업혁신창업센터는 8월말 기준으로 106개 기업을 대상으로 관리 중이다.

이중 기술심의위원회 심의를 통과해 사업화지원프로그램 단계(실질적 예산지원 단계)에 진입한 기업은 24개, 그 중에서도 투자유치 등 구체적 실적을 가진 기업은 총 7건에 그치고 있다.

한편으론 보건산업분야 기술기반 창업기업 현황에 따르면, 연간 600개 이상이 창업되고 있다.

기 의원은 "진흥원은 22년까지 누적기준으로 1,000개의 기업을 관리하겠다는 목표인데 창업기업 수를 600개로 가정해 단순합산해도 5년간 신규 창업기업 수가 3,000개"라며 "그 중 3분의1을 센터에서 관리기업으로 다루는 게 과연 현실적일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창업센터에서 관리중인 106개 기업의 법인설립일을 살펴보면, 97개 기업이 기존 기업이고, 9개 기업만이 예비창업단계이다.

기존 기업들도 어려움을 겪고 있어 지원방안을 마련하는 것은 물론 중요하지만, 검토 당시 의도는 창업에 대한 지원에 방점을 찍었음에도 예비창업 단계에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이뤄지지 않은 부분이 아쉬움이 있다는 기 의원 지적이다.

올해 2월 진흥원 이사회에 상정된 안건(보건산업혁신창업센터 설치)을 살펴보면, 센터는 제도 도입 배경으로 "보건의료인·연구자 등이 창업에 참여하도록 지원하는 체계 부족"을 지적하고 있다.

센터 사업 예산은 내년 관련 예산은 금년 수준으로 동결된 것으로 확인(12억9천만원)돼 임상의과학자(의사/의과학자) 사업화 및 네트워크 지원을 위한 사업을 신규로 추진하려고 했으나, 기재부 심사 과정에서 전액 삭감됐다고 확인했다.

기동민 의원은 관리기업 수를 늘리기보다 컨설팅 지원 강화라는 사업 목적을 다시 생각해야 한다고 상기시켰다.

기 의원은 "보건산업분야 기술기반 창업기업에 대한 지원은 진흥원의 역할만이 아니다"라며 "이미 정부는 기술보증기금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해당 기업들에 대한 정책금융을 지원 중으로, 센터가 멘토링 컨설팅 등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동시에 이들 기업들을 정부 지원채널에 연계해 줄 수 있는 허브로서 역할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