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침체가 장기화되고 일자리 부족현상이 지속되는 가운데 보건산업 일자리는 최근 5년간 연평균 4.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의원은 16일 한국보건산업진흥원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자료 '보건산업 일자리 현황'에 따르면 2017년 보건산업 일자리는 의료서비스를 포함하여 82만 9,000명으로 2016년 79만 5,000명에서 4.3%인 3만 4,000명이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분야별로 살펴보면, 보건의료서비스는 2016년 65만7,000명에서 2017년 68만 5,000명으로 2만8,000명 증가했으며, 제약‧의료기기‧화장품 등 보건제조산업 종사자는 6,000명 증가(제약 2,400명, 의료기기 2,500명, 화장품 1,500명)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13년부터 2017년까지 5년간 보건산업 일자리 추이를 보면, 보건산업 전체적으로 일자리가 연평균 4.3%(보건제조산업 6.3%, 의료서비스 3.9%) 증가했으며, 보건제조산업의 경우 화장품산업의 일자리가 연평균 10.7%로 증가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인순 의원은 "최근 고용동향을 보면, 보건산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일자리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고, 특히 저출산·고령화 및 만성질환 증가 등 보건의료 환경변화로 보건산업 일자리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면서 "저출산·고령화에 대응하여 가족 중심을 돌봄체계를 국가적‧사회적 돌봄체계로 전환하고, 의약품·의료기기·화장품 등 보건산업을 고부가가치 미래신성장 산업으로 적극 육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최근 대통령 직속 일자리위원회와 보건복지부는 '바이오헬스 일자리 창출 계획'을 발표하고, 올해 14만 6,000명 수준인 바이오헬스 일자리를 2022년까지 18만 8,000명으로 확대하는 등 바이오헬스 관련 일자리 4만 2,000개를 만들고, 바이오헬스 전문인력을 2022년까지 1만명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제약·의료기기·화장품 산업 육성, 글로벌 혁신신약 개발 기반 구축, 의료기기 글로벌 성공모델 창출을 추진할 예정이며, 보건산업 신규 일자리 창출을 위해 미래혁신성장 분야인 5대 보건신산업 분야를 대상으로 33개의 유망직종을 적극 발굴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