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복지부·심평원, 제네릭 의약품 난립방지 협의체 운영
허가제도-보험급여-유통구조 제도개선방안 내년 상반기까지 마련
김용주 기자 yjkim@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18-10-16 06:20   수정 2018.12.17 00:39

 

연간 1천여품목 가까이 출시되는 제네릭 의약품의 난립을 방지하기 위한 종합대책이 마련된다.

 

식품의약품란전처 류영진 처장<사진>은 15일 열린 .

제네릭 의약품은 약가 인하, 소비자 접근성 확대라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시장 선점을 위한 제약업체들간의 경쟁으로 인해 장점보다는 단점이 부각돼 왔었다.

최근 들어서는 제네릭 의약품의 난립이 의약품 유통구조를 왜곡시키고, 제약업체들간의 의약품 리베이트를 부추기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발암유발가능 물질이 함유된 발사르탄 의약품 사태가 발생한 이후 제네릭 의약품의 난립 문제는 사회적인 이슈가 됐다.

발사스르탄 사태로 인해 외국에서는 출시뒨 의약품이 10여에 언팎에 불과했지만 국내에서는 회수조치된 발사르탄 원료 사용 고혈압의약품이 115개 품목에 이르고 있는 상황이 발생했다. 

제네릭 의약품의 난립이 발사르탄 고혈압의약품 사태를 가져왔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제기됨에 따라 식약처-복지부-심평원이 제네릭 의약품 제도개선을 위한 협의체 구성 계기가 된 것이다.

국정감사에서 류영진 식약처장은 제네릭 의약품 난립을 방지하기 위해 공동 위탁생동 제도 개선을 요구하는 김승희 의원의 질의에 대해 "공동 및 위탁생동을 포함해 제네릭 의약품 난랍을 위한 모든 대책을 강규하고 있다" 식약처 단독보다는 정부부처가 함께 협의해 효율적인 대책이 나올 수 있어 협의체를 운영하게 됐다"고 말했다.

특히 류영진 처장은 "제네릭 의약품 난립 문제는 어제 오늘의 문제가 아니라 예전부터 있었던 문제이다"며 "미봉책보다는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협의체에서 마련해 내년 상반기 이내 제시하겠다'“고 강조했다.

품목당 최대 100개 이상 출시되면서 장점보다는 단점이 지적되어 온 제네릭 의약품 문제가 정부의 수술대위에 오르게 됐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