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허가 항암제 중 소아대상 항암제가 7.3%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나 신속한 대안 마련이 주문됐다.
더불어민주당 정춘숙 의원은 15일 식품의약품안전처 국정감사에서 이 같은 내용을 지적했다.
정 의원은 "국내 허가된 항암제 206개 성분 중 소아 대상 항암제는 15개 성분으로 7.3%에 불과해 분절해서 쓰는 등 어린이 환자를 위한 의약품 허가 상황이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국내 허가 항암제 771개 중 소아 대상 항암제는 99개 품목으로 12.8%에 해당된다.
이어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을 통해 10개 분야 항암제 의약품에서 어린이 의약품 사용이 가능하다는 내용을 확인했으나, 허가변경이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었다"며 "이는 제약업계에서 인센티브 등 유인이 없는 이유"이라고 분석했다.
정춘숙 의원은 "미국 FDA나 유럽 의약품안전청 등은 6개월간 판매독점기간을 주고, 소아안전시험에 대한 자문과 임상시험 지원 등이 이뤄지는 등 지원정책을 하고 있다"며 "적합한 약을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 국가의 기본 역할이다. 안전하고 신속히 허가받도록 대안을 마련하도록 하라"고 요구했다.
이에 류영진 처장은 "그렇게 하겠다"고 답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