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 강국 위해 국내 CRO 임상 활성화 정책 필요"
CRO협회장 복지부 국감 참석해 제안
이승덕 기자 duck4775@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18-10-11 16:30   수정 2018.10.14 23:20
신약개발 활성화를 위해 국내 CRO(임상시험수탁기관)을 활용한 임상시험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제안됐다.

한국임상CRO협회 이영작 회장은 11일 열린 보건복지부 국정감사에서 참고인으로 출석해 이 같이 밝혔다.

자유한국당 신상진 의원은 "임상시험을 많이 위수탁하고 있는데, 임상시험 확대에 대한 역행이라고 생각한다"며 "방치하는 느낌인데 대책이 필요하지 않나" 물었다.

이영작 회장은 "정부가 지난해까지만 해도 8천억원 이상의 금액을 신약사업에 투자하고 있다"며 "의도는 굉장히 좋지만 현 상황에서는 좋은 결과를 내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어 "1단계(후보물질 발굴단계에)에 1만개를 발굴하면 10개가 의약품으로 성공할 수 있고, 2단계에서 100개를 개발하면 10개까지 의약품으로 성공하는 등 성공률은 100배에 달한다"면서 "그럼에도 우리나라는 1단계에 집중적으로 투자하고, 2단계는 모두 해외로 간다. 의약품 개발 2단계를 국내에서 할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피력했다.

이와 함께 "국내 제약사 상황을 보면, 국내용/해외진출용으로 별도의 구분을 두고 허가를 받는 경우가 있는데, 식약처는 국내 임상수준을 국제기준에 맞도록 평가해 한다"고 덧붙였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