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 산하기관 임직원 60%가 식약처 퇴직공무원
역대 25명 중 15명 식약처 퇴직자…윤종필 의원 "낙하산 취업 안돼"
이승덕 기자 duck4775@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18-10-05 15:42   수정 2018.10.06 11:54
식약처 퇴직공무원의 산하기관 낙하산 취업이 문제점으로 지적돼 왔으나 개선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됐다.

자유한국당 윤종필 의원은 5일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와 식약처 산하기관으로 제출받은 임직원 채용 현황을 분석하고 이 같이 밝혔다.

자료에 따르면, 2018년도 신규 임원 직원 7자리 중 4자리를 식약처 퇴직공무원이 차지했다.

먼저,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은 기존 상임이사에 1명 더 추가해 2명을(기획경영, 인증사업) 올해 3월 공고했고, 두 자리 모두 식약처 퇴직직원이 차지했다. 연봉은 각각 1억800만원으로 동일하다.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 기관장(원장)에는 올해 7월에 식약처 출신 퇴직공무원이 임명됐고, 연봉은 1억500만원이다.

한국의료기기안전정보원 기관장(센터장) 자리도 올해 2월에 식약처 퇴직공무원이 차지했으며 연봉은 9,200만원이다.

윤 의원은 "식약처는 적법한 절차에 채용했다는 입장이지만, 식약처 퇴직 공무원이 채용신청을 한 산하기관은 100%로 식약처 퇴직공무원이 차지하고 있었다"며 "즉, 임원 4자리 모두 식약처 퇴직 공무원이 각각 1명씩 신청했고 모두 퇴직공무원이 차지한 것"이라고 말했다.

역대 임원 4명 중 모두 식약처 퇴직 공무원이 계속해서 내려간 산하기관은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이다.

이와 관련 윤 의원은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의 부실인증이 논란이 일었는데, 작년에 해썹인증을 받고도 살충제 계란을 유통시켰고, 올해 해썹인증을 받고도 단체급식에서 식중독 발생된 바 있다"며 "식약처 출신 선임들이 산하기관에 앉아있는데 식약처가 제대로 관리할 수 있겠냐는 지적이다"라고 설명했다.


윤종필 의원은 "산하기관은 퇴직 공무원을 임명하라고 만든 자리가 아니다"라며 "투명성이 제고되지 않은 상황에서 식약처 퇴직 공무원만 내려보내면 식약처 내부의 줄세우기 경쟁을 심화시키게 될 뿐"이라고 말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