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암제 개발 분야에서 ‘핫’한 기술 중 하나인 ‘ADC’(antibody drug conjugate: 항체에 일종의 독성약물인 페이로드를 링커로 연결하는 식으로 구성) 시장이 5년 새 3배 가까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됐다.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도 이 시장 적극 뛰어들고 있다.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가 Evaluate를 인용해 17일 낸 '이슈 브리핑에 따르면, ADC 시장 규모(매출)는 2015년 10억 달러에서 2023년 100억 달러로 증가했으며, 2028년 280억 달러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4년 3월 기준으로 총 13개 ADC가 FDA로부터 승인받아 시장에 출시됐다.
![]() |
해외 기업들은 ADC를 면역요법에 활용해 기존 ADC 한계점을 보완하는 추세다.
면역관문억제제와 결합해 면역원성 세포 사멸을 유도해 기존 ADC 효능을 가속화 하는 면역자극 항체약물접합체(immunostimulatory ADC, iADC) 기술이 등장했고, 글로벌 바이오파마 기업들은 선천 면역체계를 활성화하기 위해 여러 경로를 표적으로 연구개발을 진행 중이다.
Therapeutics는 면역합성 플랫폼을 사용해 안정적이고 절단 가능한 링커 스캐폴드로 세포 내부로 전달된 후 유지되도록 인터페론 유전자 자극제(STING) 작용제를 개발 중이다.
Tallac Therapeutics는 TLR9 작용제 ADC를 개발하고 있다. TLR9는 선천 면역체계 일부로 면역세포에서만 거의 독점적으로 발현돼 안전성과 내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국내 기업, ADC 개발 다수 참여... 국산 ADC 개발 성공 기대
국내 제약바이오기업들도 적극 나서고 있다.
현재까지 국내에서 개발된 ADC는 없지만, 제약회사들과 바이오 기업들은 특허등록과 지분투자, 공동연구 등 ADC 시장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국내 기업들은 현재 ADC 신약 개발보다는 플랫폼 기술을 주로 발전시키고 있으며, 여러 바이오 대기업과 함께 ADC 개발에 참여하고 있다.
리가켐바이오는 2024년 기준 총 17개 ADC 파이프라인을 구축해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후보물질을 확보했고 라이센싱에 성공하는 등 굵직한 성과를 달성하고 있다.
동아에스티는 ’23년 12월 ADC 중 링커 특화기술을 보유한 앱티스를 인수해 본격적으로 ADC 사업에 뛰어들었고 에스티팜 등 ADC의 접목할 수 있는 기술을 보유한 계열사와 협력할 계획이다.
이외 셀트리온은 피노바이오, 영국 익수다 테라퓨틱스 등과 협력 중이며, 삼성바이오로직스도 인투셀, 스위스 아라리스 바이오텍 등과 ADC 개발을 진행 중이다.
01 | 아주약품,국내 최초 건성안 신약 'AJU-S56' ... |
02 | 신약조합, '제약·바이오 사업개발 전략포럼... |
03 | LSK Global PS, GC녹십자 '배리트락스주'로 ... |
04 | 네오켄바이오, 태국 살루스바이오와 의료용 ... |
05 | 부광약품 1분기 영업익 흑자전환…라투다, 조... |
06 | 박셀바이오, 간암 대상 NK세포 치료제 원천... |
07 | 로킷헬스케어,공모가 1만1000원 확정...23일... |
08 | 한올바이오, 자가면역질환치료제 'HL161ANS'... |
09 | "제약바이오·화장품 산업 미래를 만나다" IC... |
10 | 입셀-가톨릭대, 유도만능줄기세포 기반 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