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LB제약은 올해 3분기까지 외형 성장은 있었지만, 영업이익률 0.2%, 순이익률 1.6%에 수준에 머물며 수익성 개선은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약업신문이 HLB제약의 2025년 3분기 및 누적(9개월) 실적을 분석한 결과, HLB제약은 올해 3분기까지 누적 매출 1422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36.7% 증가했다.
같은 기간 매출총이익은 760억원으로 13.8% 늘었지만, 매출총이익률은 64.2%에서 53.5%로 10.7%P 하락했다.
영업이익은 2억원으로 전년 동기 27억원에서 91.5% 감소했고, 영업이익률은 2.6%에서 0.2%로 -2.4%P 떨어졌다.
순이익은 23억원으로 전년 -2억원에서 흑자전환했다. 순이익률은 1.6%로 1.8%P 늘어났다.
상품매출은 503억원으로 전년 114억원 대비 341.3% 증가하며 매출 비중도 11.0%에서 35.4%로 24.4%P 확대됐다.
연구개발비는 50억원으로 186.2% 증가했고, 매출 대비 비중은 1.7%에서 3.5%로 1.8%P 상승했다.
해외매출·수출은 전년과 동일하게 0원이었다.
|
HLB제약은 올해 3분기까지 누적 의약품 제조판매부문 매출은 1103억원으로 전년 1040억원 대비 6% 증가했다.
제조판매부문 내 제품 매출은 914억원으로 전년 920억원에서 1% 감소했다.
ETC는 864억원으로 7%, OTC는 19억원으로 39%를 기록했다.
OTC 수탁은 15억원으로 전년 83억원 대비 82% 감소했다. ETC 수탁은 15억원으로 전년보다 4% 증가했다.
제조판매부문 내 상품 매출은 185억원으로 전년 114억원 대비 62% 증가했다. 기타 매출은 4억원으로 전년 5억원 대비 18% 감소했다.
의약품 유통부문에서는 상품매출 319억원이 신규 매출로 집계됐다.
|
HLB제약은 올해 3분기까지 누적 연구개발비가 50억원으로 전년 18억원 대비 186% 증가했다.
비용인식 R&D는 22억원으로 전년 18억원 대비 28% 늘었으며, 이 중 판관비가 22억원 전년 17억원에서 27% 늘었다. 제조경비는 0.3억원으로 전년 0.1억원과 큰 차이가 없었다.
자산인식 연구개발비가 28억원 발생하며 전체 연구개발비의 55%를 차지했다. 이에 따라 비용인식 비중은 전년 100%에서 45%로 55%p 감소했고, 판관비 비중도 99%에서 44%로55%P로 축소됐다. 자산인식 R&D 비중은 올해 55%로 나타났다.
|
HLB제약 종속기업 신화어드밴스는 올해 3분기 누적 기준 매출 319억원을 기록하며 신규 실적이 반영됐다. 누적 순이익은 -1억원으로 집계돼 적자를 기록했다.
|
| 01 | 알테오젠,MSD에 기술이전 'ALT-B4' 기술료 ... |
| 02 | [약업분석] HLB제약 3Q까지 누적 영업익 2억... |
| 03 | 현대바이오, 베트남 베파코와 '제프티' 원스... |
| 04 | SK바이오팜,미국 위스콘신대서 두 번째 방사... |
| 05 | [약업분석] CJ바이오사이언스, 수익성 개선 ... |
| 06 | [약업분석] 셀트리온제약, 제네릭 제품 매출... |
| 07 | 파미셀, 서울아산병원과 첨단재생의료 CMO ... |
| 08 | 제왕절개 수술 진료비 48.5% 급증…정책수가 ... |
| 09 | 디앤디파마텍, 경구용 펩타이드 플랫폼 기술... |
| 10 | 앱티스-캅스바이오, 차세대 DAC 개발 업무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