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한약학회는 22일 서울 코엑스 마곡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8회 Towards 100 Years Symposium’에서 ‘Advancing Polypharmacy Management in the Era of Evolving Pharmacy Practice’를 주제로 심포지엄을 열고, 고령사회에서 다제약물(Polypharmacy) 관리의 방향과 약사 주도의 실무 혁신 전략을 논의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다제약물 관리가 더 이상 ‘약의 개수’ 문제가 아니라, 환자 중심의 약물 최적화와 안전성 확보의 문제임을 재확인한 자리였다.
참석자들은 △‘Deprescribing(약물 감량·중단)’ 가이드라인 도입 △방문약료·퇴원이행기 연계 강화 △요양시설 내 약사 역할 제도화 등 환자 맞춤형 약물관리 체계의 필요성을 공통적으로 강조했다.
Amy Page 교수 “약의 개수보다 ‘적정성’이 핵심…Deprescribing 문화 정착해야”
호주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대학교 Amy Page 교수는 “다제약물 문제는 단순히 약을 많이 먹는 것이 아니라, 환자에게 꼭 필요한 약이 빠지거나 불필요한 약이 포함된 상태를 뜻한다”고 지적했다.
Page 교수는 5개 이상 약을 복용하는 고령자의 12~64%가 필요한 약을 제대로 처방받지 못했고, 10~90%는 고위험 약물을 복용하고 있었다는 데이터를 제시했다.
그는 약물 감량·중단을 체계적으로 수행하는 ‘Deprescribing’ 개념을 소개하며, “중요한 것은 환자와 의료진이 함께 결정하는 공유의사결정(shared decision)”이라 강조했다.
이어 “Deprescribing은 갑작스러운 중단이 아니라, 계획적이고 점진적인 감량을 원칙으로 한다”며 “이를 뒷받침할 근거기반 가이드라인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Page 교수팀은 72명의 전문가(약사·의사·간호사 등)가 참여한 ‘호주 Deprescribing 임상 가이드라인’을 개발, 고령자에게 가장 많이 처방된 100개 의약품(35개 약물군)을 분석해 △중단 시점 △유지 기준 △모니터링 방법을 구체화했다.
Page 교수는 한국의 잠재적 부적절 약물목록(K-PIMs) 등 각국의 PIMs 기준을 비교·검토하며 호주 고령자 처방 실정에 맞는 가이드라인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현재 이 가이드라인이 호주 전역에서 약사 교육과 대국민 캠페인에 활용되고 있다며, “고령자 스스로 ‘약 줄이기 상담’을 시작하도록 사회적 인식을 바꾸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박선경 교수 “방문약료사업, 법제화 발판 삼아 전국 확산해야”
가톨릭대학교 약학대학 박선경 교수는 경기도약사회와 공동으로 진행 중인 ‘방문약료사업’을 소개하며, “약사가 지역사회 현장으로 들어가 복약지도를 수행할 때 비로소 다제약물 문제를 실질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경기도 방문약료사업은 2017년부터 의료급여 수급권자·중복질환자·돌봄필요자 등을 대상으로 가정을 직접 방문해 복약지도와 약물조정을 시행해 온 모델이다.
복약이행과 약물지식, 부작용 인식이 모두 유의하게 개선됐으며, 중복·고위험 약물 감축과 처방 최적화, 가족·보호자 연계 등 다층적 효과가 확인됐다.
박 교수는 “2026년 시행되는 ‘통합돌봄법’에 약사 복약지도가 명시되면서 방문약료의 법적 기반이 마련됐다”며 “현장 경험을 표준화·데이터화하고, 약사 중재에 대한 수가체계를 신설해야 지속 가능한 모델로 발전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의사 중심의 인센티브 구조를 개선해 약사 중재 보상체계를 포함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김주신 교수 “퇴원 후에도 약물관리 이어져야…병원–지역약국 연계 효과 입증”
원광대학교 약학대학 김주신 교수는 전주시 통합돌봄 선도사업 내 *병원–지역약국 연계 약물관리 프로그램’을 소개했다.
그는 “퇴원은 치료의 끝이 아니라, 복약 안전관리가 새로 시작되는 시점”이라며 “병원약사와 지역약사가 정보를 공유하고 연속적으로 관리할 때 환자 안전망이 강화된다”고 말했다.
전북대병원 퇴원환자 65세 이상을 대상으로 한 시범사업 결과, 참여 환자 전원에서 약물 관련 문제가 발견됐으며, 이 중 80% 이상이 지역약사 방문 단계에서 새로 확인·해결됐다.
특히 고위험 약물 복용자에서 재입원률과 부작용 위험이 감소했고, 복약이행도 개선 효과가 나타났다.
김 교수는 “퇴원이행기 약료는 환자 안전에 매우 효과적이지만, 행정 절차와 보상 부재로 지속성이 떨어진다”며 “의료기관과 지역약국 간 연계 플랫폼과 적정 수가 신설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아영미 교수 “요양시설은 약물위험 집중지대…정례 약사 검토 제도화해야”
영남대학교 약학대학 아영미 교수는 “요양시설은 다제약물과 잠재적 부적절 약물(PIM) 사용이 집중된 위험지대”라며 “노인 환자 안전을 위해 약사·의사·간호사 등 다학제 협력 기반의 표준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수도권 28개 요양시설 1,672명을 대상으로 한 전향적 다기관 연구 결과를 소개했다.
이 연구에서는 약물검토(약사)–사례회의(의사·간호사 등)–중재 실행–추적평가의 체계를 구축해, 벤조디아제핀 감량·돔페리돈 중단 등 약물조정 중재를 통해 낙상·입원·응급실 방문 위험을 낮추는 성과를 거뒀다.
아 교수는 “해외처럼 월 1회 약사 검토(DRR)를 제도화하고, 통합돌봄 체계 안에서 정례 약물검토를 수가화해야 한다”며 “전국 단위 표준 서식과 플랫폼을 구축해 행정 효율과 피드백 속도를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다제약물 관리의 핵심이 단순한 약물 개수 조정이 아니라 ‘환자에게 꼭 필요한 약만 남기는 과정(Deprescribing)’임을 분명히 하며, 약사 중심의 방문약료, 퇴원이행기 관리, 요양시설 다학제 협력 등 실천적 해법이 향후 제도화 과제로 제시됐다.
01 | 마이크로디지탈,바이오리액터 ‘셀빅’ 인도 ... |
02 | 큐리언트 텔라세벡,'부룰리궤양' 호주 임상... |
03 | 알피바이오,콜린 시장 대체제 강황 원료 확... |
04 | 파로스아이바이오, ‘PHI-101’로 혈액암 정밀... |
05 | 플라즈맵, 북미 최대 안과 전시회 통해 미국... |
06 | LG화학, 난임 극복 팔 걷었다 |
07 | K-컬러와 디바이스, 미국 시장 신성장동력 |
08 | 상장 뷰티기업 상반기 ROE 1.32% …전년비 3... |
09 | ‘키트루다’+‘파드셉’ 방광암 FDA ‘신속심사’... |
10 | [인터뷰] OPIS “까다로운 유럽·EMA?…임상 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