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엑스앤브이엑스 자회사 에빅스젠은 차세대 약물 전달 플랫폼(ACP: Advanced Cell Penetration Peptide) 기술을 미국 바이오 전문 기업에 약 5천억 원 규모로 라이선스 아웃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에빅스젠은 DXVX가 지분 66.2%을 보유한 신약개발 전문 기업이다.
라이선스 아웃 계약을 통해 에빅스젠은 ACP 특허 제한적 독점 전용 실시권을 파트너사인 미국 바이오 전문 기업에 부여하고, 해당 기업은 자사 신약 개발 후보 물질에 한해서 적용 및 개발한다. 파트너사는 계약금 및 개발 마일스톤에 따른 기술료 총 5천억 원을 에빅스젠에게 지급한다. 상업화 후 10년간 로열티는 별도다. 그 외 계약 구체적인 정보는 파트너사의 요청에 의해 비공개로 진행된다.
에빅스젠에 따르면 자체 개발한 ACP 플랫폼은 독자적인 구조로 설계된 펩타이드 기반 약물 전달 기술이다. 이 플랫폼은 다양한 약물과 결합 또는 단순 혼합만으로도 체내 조직과 세포에 약물을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저분자 화합물, 펩타이드, RNA 등 핵산, 항체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적용 가능성을 보유하고 있어 높은 확장성을 지닌 차세대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비임상 동물실험을 통해 약물 전달 가장 큰 난관으로 꼽히는 뇌혈관장벽(BBB, Blood–Brain Barrier)을 ACP를 결합한 약물로 성공적으로 투과했으며, 이를 통해 손상된 동물 운동 기능을 개선 시키는 결과를 확보했다. 이는 기존 약물 전달 기술로는 달성하기 어려웠던 CNS (중추신경계) 타깃 치료제 개발에 실질적인 해법을 제시한 것으로 평가된다.
디엑스앤브이엑스와 에빅스젠은 펩타이드 기반 약물 전달 기술 개발 전문성과 기술력을 보유한 기업으로, 다수 펩타이드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치료제 및 전달체 기술을 축적해 왔다.
이번 계약은 ACP의 뛰어난 확장성 중에서도 극히 일부 제한된 권리만 이전한다. BBB 특허도 계약에서 제외된다. 그럼에도 5천억원의 계약금 및 기술료 협상은 매우 고무적인 결과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에빅스젠 한성준 대표는 “당사 첫 글로벌 라이선스 아웃 계약으로 수년간 이어 온 연구개발 노력이 결실을 맺었다”며 “기술 가치를 인정해 준 파트너사에 감사드리며, 이번 계약을 발판으로 삼아 글로벌 시장 진출과 추가 협력 확대에 한층 속도를 낼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디엑스앤브이엑스 권규찬 대표는 “자회사 기술을 우리 사업개발 능력으로 잘 풀어내어 좋은 결실을 맺었다. 실질적으로 우리 두번째 글로벌 라이선스 아웃 성공으로 생각한다. 이번 계약을 통해 에빅스젠의 ACP 플랫폼 기반 BBB 투과 기술의 라이선스 진행은 물론 DXVX 다른 파이프라인 라이선스 논의에도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계약은 에빅스젠 최대주주인 디엑스앤브이엑스가 사업개발 권한을 위임받아 협상을 주도한 결과다. 플랫폼 기술 특성상 다수 기업과 계약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추가 라이선스 아웃 진행시, DXVX도 사업개발에 따라 일정 부분 의미 있는 수익을 확보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