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국 화장품협회(CTPA)가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2일 발표한 통상‧경제관행 관련 국가 비상사태 행정명령과 관세 부과에 대한 입장 발표문을 3일 공개했다.
니코 쇼 누네즈 법무담당이사의 명의로 공개된 발표문에서 영국 화장품협회는 “영국과 미국이 화장품, 퍼스널케어 제품들과 관련해서 강력한 교역관계를 유지해 왔다”고 운을 뗐다.
지난해의 경우 영국이 약 3억6,000만 파운드(약 4억7,160만 달러) 상당의 화장품과 퍼스널케어 제품들을 미국에 수출한 반면 이보다 2배 가까운 6억8,000만 파운드(약 8억9,000만 달러) 규모의 뷰티제품들을 미국에서 수입했다는 설명이다.
이에 따라 미국은 지난해 유럽연합(EU) 회원국들을 제외하면 영국의 최대 화장품‧퍼스널케어 제품 무역상대국이었고, 이 같은 지위는 오랜 기간 동안 상대적으로 안정되게 유지되어 왔다고 지적했다.
그런데 이전까지 부과되지 않았던 관세가 부과되면 이 같은 양국의 무역관계는 분명 영향을 입을 수 밖에 없게 될 것이라고 영국 화장품협회는 강조했다.
그 같은 영향의 파장은 예상할 수조차 없는 것이라고 덧붙이기도 했다.
하지만 관세가 부과되면 미국 소비자들이 영국에서 수입된 화장품과 퍼스널케어 제품들을 사용하고자 할 때 추가적인 비용부담을 감수해야 할 것이라는 사실은 명확해 보인다고 단언했다.
그리고 이 같이 늘어나는 비용은 기업 측이 오롯이 흡수하거나, 아니면 소비자들에게 직접적으로 전가될 것이라고 꼬집었다.
또한 영국에서 수출되는 상품들에 10%의 관세가 부과될 예정인 가운데 이제까지 미국 소비자들에게 화장품과 퍼스널케어 제품들을 공급해 왔던 각국의 유통망에도 영향이 불가피해 보인다고 언급했다.
예를 들면 EU에서 미국으로 수출되는 상품들에 20%의 관세가, 중국산 수출상품에 대해서는 이보다 더 높은 34%의 관세가 각각 부과될 것이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EU와 중국의 유통망은 기타 세계 각국과도 연결되어 있는 만큼 영국기업들에게도 여파가 미칠 것이라는 점은 자명해 보인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이에 영국 화장품협회는 이 같은 문제점을 명확하게 부각시키고, 이로 인해 영국의 화장품업계가 직면할 수 밖에 없는 도전요인들을 지속적으로 제기하기 위해 회원사들과 긴밀하게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다짐했다.
또한 영국 화장품협회는 정부가 영국과 미국의 통상관계에서 전략적인 위치를 견고하게 구축해 왔다면서 화장품과 퍼스널케어 제품들의 자유무역을 뒷받침하고자 하는 우리 협회의 장기적인 목표에 보탬이 될 정부의 조치가 강구될 경우 적극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 01 | '첨단재생의료 치료기회 확대를 위한 정책·... |
| 02 | 씨엔알리서치, ‘K-AI 신약개발 전임상·임상 ... |
| 03 | 인트론바이오, IMPATM 플랫폼 기술 신규 모... |
| 04 | 온코크로스, 복지부 주관 'K-AI 신약개발 전... |
| 05 | 에이비엘바이오 "네옥 바이오 공식 출범…이... |
| 06 | 한미약품 고혈압 복합제 베트남 진출…‘비엣... |
| 07 | 아이젠사이언스, 370억 규모 ‘K-AI 전임상/... |
| 08 | 에이프로젠,글로벌 규제 완화 속 바이오시밀... |
| 09 | 목암생명과학연구소, K-AI 신약개발 연구기... |
| 10 | 디엑스앤브이엑스,사업개발 전문가 유건상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