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바이옴 신약 개발 전문 기업 고바이오랩(대표이사 고광표)은 핵심 대사질환 치료 균주 로제부리아 인테스티날리스(Roseburia intestinalis) KBL982(이하 KBL982)의 미국 특허 등록이 결정됐다고 9일 밝혔다.
정상인의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을 구성하는 공생균은 영양소의 대사 및 면역 반응의 조절 등 숙주인 인체와 긴밀한 상호작용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의 불균형과 비만 및 지방간 등의 핵심 대사질환들 사이의 밀접한 연관성이 관련 최신 연구들을 통해 속속 보고되고 있다.
고바이오랩은 핵심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플랫폼 스마티옴을 통해 확보한 'KBL98'2'가 간 지방 축적을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한편, 장벽 보호 및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의 불균형 회복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했다. 현재 고바이오랩은 국가신약개발사업을 통해 균주 복합체 기반 비만치료제를 개발하고 있으며, KBL982는 이 비만 치료제의 핵심 균주다.
현재 GLP-1(glucagon-like peptide-1) 수용체 작용제(receptor agonist)들의 주요한 부작용으로 약물 투여를 중단하면 체중이 다시 증가하는 ‘요요현상(Yo-Yo effect)’이 제시되고 있다.
고바이오랩 관계자는 “자사의 균주 복합체 기반 비만치료제는 △당대사 조절 △장벽 보호 △GLP-1 분비 촉진 △고지방식이로 인한 장내 미생물 불균형 회복 등의 효과가 있어, 더욱 근본적인 비만 치료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특히 고바이오랩의 비만치료제 균주는 타 치료제 대비 부작용이 적고, 경구 제형으로 복용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적정한 약가로 출시가 가능해 환자 접근성 측면에서도 장점이 있다는 설명이다.
고바이오랩 관계자는 “현 시장에서 광범위하게 처방되고 있는 세마글루타이드(Semaglutide)등과 병용 투여 시에도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면서 "KBL982의 미국 권리 확보는 매우 고무적이며, 향후 KBL982 균주의 본격적인 사업화를 위한 글로벌 권리 획득에 집중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