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캘리포니아州 샌디에이고에 소재한 제약기업 아카디아 파마슈티컬스社(Acadia Pharmaceuticals)는 2세 이상의 소아 및 성인 레트 증후군(Rett syndrome) 환자들을 위한 치료제로 개발을 진행한 트로피네타이드(trofinetide)의 허가신청서를 FDA에 제출했다고 18일 공표했다.
트로피네타이드는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1(IGF-1)의 아미노기 말단 트리펩타이드 합성 유사체의 일종이다.
레트 증후군은 X 염색체 연관성 우성질환의 일종으로 여아 1만0~1만5,000명당 1명 정도의 비율로 발생하고 있다.
생후 18개월 정도까지는 비교적 정상적인 발달을 보이다가 이후 점진적으로 언어 및 운동발달이 멈추거나 퇴행하면서 인지‧운동능력 상실, 언어기능 상실, 손을 씻는 듯한 동작과 손을 입에 넣거나 박수를 치거나 손을 쥐어짜는 듯한 행동을 반복하는 특징을 나타낸다.
뒤뚱거리면서 걷는 보행장애와 이를 갈거나 숨쉬는 모양이 변하는 등의 증상들을 동반하기도 한다.
아카디아 파마슈티컬스社의 스티브 데이비스 대표는 “허가신청이 이루어진 것은 아직까지 치료제가 부재한 데다 파괴적인 증상들에 직면하고 있는 레트 증후군 커뮤니티 구성원들을 위해 중요한 진일보가 이루어진 것”이라면서 “우리의 본임상 3상 ‘Lavender 시험’을 포함해 트로피네타이드의 개별 임상시험 건들에 참여해 준 환자, 환자가족 및 의사분들게 감사의 뜻을 전하고 싶다”고 말했다.
그는 뒤이어 “평가가 진행되는 동안 FDA와 긴밀한 협력을 진행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트로피네타이드의 허가신청서는 본임상 3상 ‘Lavender 시험’에서 도출된 결과를 근거로 제출된 것이다.
5~20세 연령대에 달하는 여아 및 젊은층 여성 레트 증후군 환자 총 187명을 충원한 이중맹검법, 피험자 무작위 분류, 플라시보 대조시험으로 진행된 ‘Lavender 시험’은 트로피네타이드의 효능 및 안전성을 평가하고 플라시보 대조그룹과 비교분석하는 내용으로 설계됐다.
시험을 진행한 결과 트로피네타이드를 투여한 환자그룹은 12주차에 ‘레트 증후군 행동 설문’(RSBQ) 지표를 적용한 착수시점과 비교평가, 같은 시점에서 ‘임상 전반 평가 및 개선’(CGI-I) 지표를 적용한 비교평가 등 일차적 시험목표에서 플라시보 대조그룹에 비해 통계적으로 괄목할 만한 개선이 입증됐다.
RSBQ 지표는 간병인이 레트 증후군의 핵심적인 증상들을 평가한 지표이며, CGI-I는 레트 증후군의 악화 또는 개선 유무를 의사가 전반적으로 평가한 지표이다.
시험결과를 보면 이와 함께 12주차에 ‘의사소통 및 상징행동 지표 발달 프로필 영‧유아 체크리스트-사회 종합점수’ 지표를 적용한 착수시점 비교평가, 간병인이 평가한 의사소통 능력 등 이차적 시험목표들도 충족된 것으로 분석됐다.
한편 아카디아 파마슈티컬스 측은 북미시장에서 트로피네타이드를 레트 증후군 및 기타 관련 적응증 치료제로 개발하고 발매를 진행하기 위해 지난 2018년 뉴렌 파마슈티컬스社(Neuren Pharmaceuticals)와 독점적 라이센스 제휴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트로피네타이드는 FDA에 의해 레트 증후군 치료를 위한 ‘패스트 트랙’ 및 ‘희귀의약품’으로 지정됐다.
‘희귀의약품’으로 지정됨에 따라 트로피네타이드는 심사과정에서 ‘신속심사’ 대상으로 지정될 개연성을 무게를 싣게 하고 있다.
또한 트로피네타이드는 ‘희귀 소아질환 치료제’로도 지정되어 차후 허가를 취득한 ‘신속심사 바우처’를 부여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