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중 음성 유방암(TNBC)은 가장 공격적인 유형의 유방암으로 알려져 있다.
에스트로겐 수용체,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및 인간 상피세포 성장인자 2(HER2) 단백질에 모두 음성을 나타내는 유형의 유방암이라는 의미에서 삼중 음성 유방암으로 불리고 있다.
이와 관련, 머크&컴퍼니社는 자사의 항 프로그램 세포사멸 단백질-1(PD-1) 치료제 ‘키트루다’(펨브롤리주맙)의 삼중 음성 유방암 적응증 추가가 FDA에 의해 승인됐다고 27일 공표해 관심을 모으고 있다.
적응증 추가가 승인됨에 따라 ‘키트루다’는 고위험도 초기 삼중 음성 유방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신보조 요법제(neoadjuvant treatment)로 항암화학요법제와 병용하고, 뒤이어 수술 후 단일제 보조요법제로 지속적으로 투여하는 용도로도 사용이 가능케 됐다.
FDA는 임상 3상 ‘KEYNOTE-522 시험’에서 도출된 결과를 근거로 ‘키트루다’의 적응증 추가를 승인한 것이다.
삼중 음성 유방암은 공격적인 유형의 유방암이어서 재발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KEYNOTE-522 시험’에서 도출된 결과를 보면 치료전력이 없는 2기 또는 3기 삼중 음성 유방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수술 이전에 ‘키트루다’를 카보플라틴 및 파클리탁셀, 이후 독소루비신 또는 에피루비신 및 사이클로포스파마이드 등의 항암화학요법제들과 병용토록 하고, 수술 이후 단일제로 투여를 지속했을 때 무합병증 생존기간(event-free survival)이 신보조 요법제로 항암화학요법제들만 사용한 대조그룹에 비해 괄목할 만하게 연장된 것으로 나타났다.
결정적 외과수술(definitive surgery)을 할 수 없게 하는 종양의 진행, 국소/원격 재발, 이차 원발성 암 또는 원인을 불문한 사망 등의 위험성을 37% 감소시켜 준 것.
FDA의 이번 승인으로 ‘키트루다’는 미국에서 30번째 적응증을 장착할 수 있게 됐다.
텍사스州 댈라스에 소재한 베일러대학 메디컬센터의 조이스 오쇼네시 유방암과장은 “삼중 음성 유방암이 조기에 진단되었더라도 30~40%의 환자들에게서 표준 신보조 항암화학요법 및 수술을 진행한 이후에도 재발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며 “이에 따라 새로운 치료대안을 필요로 하는 크게 충족되지 못한 의료상의 니즈가 존재하는 형편”이라고 말했다.
오쇼네시 박사는 또 “오늘 적응증 추가가 승인된 것은 대단히 환영할 만한 소식일 뿐 아니라 고위험도 초기 삼중 음성 유방암 환자들을 위한 치료법의 일부로 면역요법제가 포함되어 치료 패러다임의 변화로 귀결될 수 있는 개가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키트루다’를 사용해 치료를 진행하는 동안 중증 또는 치명적일 수 있는 면역 매개성 부작용이 체내의 각종 기관계 또는 조직에서 수반될 수 있는 데다 한곳 이상의 체내 기관계에서 동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 같은 면역 매개성 부작용은 ‘키트루다’를 사용해 치료를 진행하는 동안이나 치료를 마친 후 언제든 수반될 수 있다.
여기에 해당하는 부작용들은 폐렴, 대장염, 간염, 내분비병증, 신장염, 피부반응, 고형장기 이식수술 거부반응 및 동종이계 조혈모세포 이식수술 합병증 등이다.
이에 따라 면역 매개성 부작용을 조기에 확인하고 관리하는 것이 ‘키트루다’의 안전한 사용을 위해 필수적이다.
수반된 부작용의 중증도에 따라 ‘키트루다’는 사용을 보류하거나 영구적으로 중단해야 할 수 있으며, 적절할 경우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투여할 수 있다.
이밖에도 ‘키트루다’를 사용할 때 중증 또는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주사 관련반응이 수반될 수 있다.
작용기전에 미루어 볼 때 임신 중인 여성들에게 ‘키트루다’를 투여했을 경우 태아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머크 리서치 래보라토리스社의 비키 굿먼 임상연구 담당부사장은 “삼중 음성 유방암이 난치성 유방암의 한 유형인 데다 유감스럽게도 미국에서 젊은층 여성들과 흑인 여성들에게 한층 더 빈도높게 나타나고 있다”며 “이처럼 도전적인 암에 직면한 환자들을 위해 새로운 치료대안을 공급할 수 있게 된 것을 환영해 마지 않을 일”이라고 말했다.
이 신보조 요법제와 ‘키트루다’ 병용 보조요법제가 고위험도 초기 삼중 음성 유방암 환자들을 위한 첫 번째 면역요법제로 승인받은 것은 유방암 커뮤니티를 위해 유의미한 진일보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이기도 했다.
한편 이날 머크&컴퍼니 측은 종양이 프로그램 세포사멸 리간드-1(PD-L1)을 나타내는(복합양성점수 10점 이상) 국소재발성 절제수술 불가성 또는 전이성 삼중 음성 유방암 환자들을 치료하기 위해 ‘키트루다’와 항암화학요법제를 병용하는 용도에 대한 가속승인(accelerated approval) 지위를 완전승인(full approval) 지위로 격상했다.
이 같은 결정은 확증시험으로 진행되었던 ‘KEYNOTE-522 시험’에서 도출된 자료를 근거로 도출된 것이다.
당초 가속승인 결정은 임상 3상 ‘KEYNOTE-355 시험’에서 확보된 결과를 근거로 지난해 11월 공표되었던 것이다.
01 | 와이레스, 누적 방문객 15만명 돌파…방문객 ... |
02 | 앱클론, 차세대 혈액암 CAR-T 치료제 ‘네스... |
03 | 아모레퍼시픽홀딩스, 집중호우 피해 복구 위... |
04 | 유한양행, 창립 100주년 기념 구 사옥 리노... |
05 | 미래의학연구재단, 제6회 BCC 2025 개최…"유... |
06 | LG생활건강, 새로운 차원의 자외선차단제 ... |
07 | 젠셀메드, 한국벤처협회 '포스트 팁스' 최우... |
08 | 코오롱생명 충주공장, 브라질 GMP 인증…중남... |
09 | 씨젠, 세계 첫 PCR 검사 완전 자동화 시스템... |
10 | 뉴라스타·티쎈트릭·블린사이토 급여 확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