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국 마스크 중복 공급 방지....처음부터 요양관리시스템 구상"
김용범 기재부 차관 답변…DUR로 알려져 있으나 요양관리시스템 맞다
이승덕 기자 duck4775@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0-03-05 12:48   수정 2020.03.05 13:12
약국에 공급되는 공적 마스크의 공평 분배를 위한 시스템 구성을 처음부터 요양관리시스템포탈시스템으로 구상됐다고 설명됐다.

기획재정부 김용범 1차관<사진>은 5일 제2차 국회코로나19대책특별위원회에서 미래통합당 김승희 의원 질의에 이같이 답변했다.

김승희 의원은 "(정부가) 유통의 채널을 깊이 생각하지 못했다는 생각이 든다. 약국은 품절이고, 백화점에서 팔고 있다. 이런 상황은 국민에게 납득이 가지 않는다"며 "농협·하나로마트로 가더니 DUR을 운운했는데, DUR은 의약외품에 적용되지 않는다. 그러더니 말을 바꾸고 다른 포탈시스템(요양기관 업무 포털시스템)이라고 한다. 정확한 지침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지적했다.

김용범 차관은 "외부적으로 DUR로 알려졌지만, 바꾼게 아니라 처음부터 요양관리 포털시스템으로 접근했다"며 "다행히 약국-심평원 별도로 연결되는 별도의 시스템이 있어 접근하게 된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엄정하게 보면 DUR과 요양관리시스템은 다른데 광의로 해석할 수 있겠지만 처음부터 요양관리시스템으로 구상하고 있었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지난 3일 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은 언론을 통해 마스크 분배를 위한 투명공급처로 약국을 지목하며 DUR을 활용해 이력 확인이 가능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또한 지난 4일에는 김강립 복지부 차관이 국회 대정부질의에서 약국 마스크 중복구매 방지를 위해 DUR도 검토하고 있었지만 요양기관 포털시스템을 운영하는 것이 낫겠다는 실무 의견이 나왔다고 답변하기도 했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