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배의 위해성과 흡연율을 줄이기 위해 ‘전달시스템’ 변화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9일 여의도 글래드호텔에서 열린 제 3회 아시아위해감축포럼(Asia Harm Reduction Forum Seoul 2019)에서 오타와대학교 법학부 데이비드 스웨너(David Sweanor) 교수는 “건강을 위협하는 담배, 특히 니코틴을 줄이기 위해서는 ‘전달시스템’을 바꿔야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카페인의 경우 수백 년 전에는 위해 물질로 여겨졌으나 현재 추출 방법이 개발됨에 따라 모두가 섭취하고 있다”며 “담배도 마찬가지다. 사람들의 이성적, 과학적 사고 없이도 수명을 늘릴 수 있도록 과학적 기술 발전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HNB(Heat Not Burn)과 같은 전자담배(e-cigarette)제품이 대표적 사례로 소개됐다. 실제로 캐나다의 경우 HNB 제품 도입으로 10년 만에 담배흡연율을 40%, 특히 10대의 경우 60%까지 줄일 수 있었다.
그러나 ‘전달시스템’은 이러한 과학적 기술만으로 제한되는 협소한 개념이 아니라는 스웨너 교수의 설명이다. 즉, 전달시스템은 기술과 정책을 모두 아우른 것으로 정책적 규제를 통한 사람들의 인식, 지식 개선도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흡연율 감소에 대한 영향 파급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정책적 제도를 통한 규제와 반복적 시행이 필요하다는 것.
스웨너 교수는 “콜레라, 천연두과 같은 전염병도 마찬가지로 과거 많은 사망자가 있었지만 많은 치료연구가 나온 후에도 여전히 사망자가 나타나는 곳이 있다. 과학적 연구로 해결책이 나오더라도 행동이 따르지 않으면 진전은 없다”고 강조했다.
또한 “전자담배와 같은 기술적 진보는 흡연 관련 공공보건에 많은 개선을 가져왔지만 정책적 보완이 없다면 국민들의 인식이나 지식을 개선하기 힘들 것”이라며 “더불어 국민인식의 전환은 또 다른 기술 개발과 담배시장에서의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열 수 있다”고 말했다.
뉴질랜드, 일본, 싱가폴 등도 이와 같은 전달시스템 변화를 통해 담배 위해성 감소에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뉴질랜드 대표인 Center of Research Excellence의 마레와 글로버(Marewa Glover) 박사는 ‘베이핑(Vaping)’에 대해 “처음 정부의 잘못된 정보로 인해 담배 대체제에 대한 부정적 인식으로 사용이 감소했었지만 일반담배의 건강위해성이 더 높다고 알려지면서 전자담배의 사용이 권유되고 있다”고 말했다.
덧붙여 “현재 The facts of vaping이라는 사이트를 이용해 전자담배의 장점, 사실에 대한 광고 등으로 인식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전자담배 활용화를 위한 관련 법안이 진행 중이며 9월에 제출될 예정이다”고 밝혔다.
일본의 경우, 정부에서 적극적으로 금연 정책을 펼치고 대부분의 지자체가 HNB 제품을 제외한 일반 담배 규제 차별화를 시행하는 등 규제를 통해 약 40%의 흡연율 감소를 이뤘다. 글로벌 니코틴 포럼에도 참여해 HNB 제품에 대한 다양한 연구 활동도 펼치고 있다.
아오이 대학병원의 히로야 쿠마마루(Hiroya Kumamaru) 박사는 “젊은 세대에게 HNB 제품이 흡연을 불러일으킨다는 ‘게이트웨이 효과’ 연구 결과, 흡연 유발과 같은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밝혀냈다”며 “MIND 연구에서는 전자담배를 통한 니코틴 효과가 신경질환 문제(치매 등)에 오히려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결과도 확인한 바 있다”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