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물치료학 <31>
백내장
최선례 기자 best_sun@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1999-11-01 13:25   
백내장

질병개념

백내장은 수정체가 혼탁한 상태를 말한다. 백내장은 여러 가지 원인에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출생시부터 인정되는 선천성 백내장은 시력발달에 장해가 되는 약시를 형성하거나 진행하여 시력장해를 발생하는 경우가 있지만 경미한 상태 그대로 진행하지 않는 경우도 많다. 당뇨병, 아토피성피부염 등의 전신질환이나 스테로이드제의 투약, 방상선 조사와 관련하여 발생하는 경우도 있지만 포도막염 등 눈의 염증성질환, 눈 밖의 상처 등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백내장이 생기는 원인 중 가장 많은 것은 加齡백내장(노인성 백내장)인데, 45세 이후부터 인정된다. 백내장의 有病率은 40대 30%, 60대 60∼70%, 80대는 거의 100%로 보고되고 있다.

수정체의 주요한 구성성분은 물(64%)와 단백질(35%), 그리고 나머지 1%가 지질 등 미량물질로 되어 있다. 젊은 사람들의 수정체는 탄성이 풍부하지만 노화와 함께 단백질 구조의 변화가 생겨 硬化되어 수정체의 탄력이 저하한다. 백내장이 생기는 원인은 아직 확실하지 않은 점이 많지만 노인성, 즉 加齡과 관련된 것은 확실하다. 수정체가 혼탁한 생화학적 이상상태는 산화·환원의 불균등, 막의 장해, 대사장해로 요약할 수 있는데 이들 요인을 개선하는 것이 백내장 약물치료의 기전이다.

치료원칙

백내장 치료, 특히 약물요법의 목적은 수정체의 투명성유지, 백내장 진행을 예방하는 것이다. 현재, 혼탁 수정체를 개선하여 투명화하는 치료제는 없다. 치료 효과를 보려면 장기간 약물요법을 해야 한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는 약물의 유용성은 확실하지 않아 약물요법을 함에도 불구하고 백내장이 진행하는 예는 적지 않다. 백내장으로 생기는 시력장해는 수술치료로 충분히 개선할 수 있기 때문에 약물요법은 외과적 치료를 하기 전까지의 보조적 치료이다. 그러나 수정체를 眼內렌즈(인공수정체)로 바꾸는 현재의 수술에서는 조절력을 잃게 되는 점이 수술전과 다르다. 수정체의 혼탁 정도와 환자의 일상생활, 직업 등을 고려하여 수술 시기를 선택해야 한다.

주요약물과 처방해설

1. 點眼치료

백내장은 수정체가 혼탁한 증상으로 원인은 산화·환원 불균등, 막의 傷害 및 대사장해이다. 현재 혼탁한 수정체를 개선하여 투명화하는 약물은 없지만 pirenoxine은 대사이상으로 생긴 키노이드물질의 작용을 저해하여 백내장 진행을 억제하는 약물로서 사용된다.

·Pirenoxine (백내장 치료제)

《작 용》키노이드학설에 의하면 백내장이 생기는 원인은 수정체의 수용액 단백이 有核아미노산의 대사 이상으로 생긴 키노이드물질에 의한 변성불용성화이다. 본약물은 키노이드물질의 작용을 경합적으로 저해하여 수정체의 투명성을 유지하고 백내장의 진행을 억제한다.

《사용상 주의》금속이온의 잠입으로 색조가 변화하므로 주의한다. 용해 후 3주 이내에 사용한다.

《부작용》眼瞼炎, 접촉피부염 등이 나타나기도 한다. 또, 비만성 표층각막염, 결막충혈, 자격감, 소양감이 나타난다.

2. 내복치료

백내장의 원인은 산화·환원의 불균등, 막의 상해 및 대사장해로 생기는 수정체의 혼탁이다. Tiopronin은 수정체 단백응집을 억제하여 백내장으로 진행하는 것을 억제하는 약물로서 사용된다.

·Tiopronin (대사개선 해독제)

《작 용》본약물은 수정체 혼탁 방지 작용을 한다. 소의 수정체 단백응집을 본약물이 억제하는 것은 실험을 통해 확인했고 실험적 집토끼 백내장 발증을 본약물이 지연시키는 것도 확실해졌다.

《사용상 주의》발진, 소양감 등의 피부증상, 식욕부진, 오심 등의 소화기증상 또는 발열, 권태감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그 후 황달 등의 심한 부작용이 나타나가도 하므로 투여중에는 정기적으로 간기능 검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령자는 간·신기능이 저하하는 일이 많으므로 감량하는 등 주의가 필요하다. 소아 투여시 소아 시스틴尿症患者에 본약물을 장기간, 대량투여하면 프로제증후군이 나타나기도 한다.

《금 기》본약물은 과민증 병력이 있는 환자에게는 금기이다.

《부작용》심한 부작용으로서 라이네르증후군이 나타나는 일이 있다. 그밖에 소양감, 발진, 발열, 피부발적, 扁平苔癬 등이 드물게 나타나는 일이 있다. 또, 과립구 감소증이나 미각 이상도 드물게 나타나기도 한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