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또래 아이들 보다 2차 성징(사춘기의 신체적인 변화)이 2년 정도 빠른 것을 '성조숙증'이라고 한다. 2차 성징이 여아는 8세 이전에, 남아는 9세 이전에 시작되는 경우를 성조숙증으로 진단한다.
성조숙증인 경우 성장판이 일찍닫혀 성인키가 작을 확률이 높으므로 부모가 아이의 상태를 주의깊게 관찰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용익)이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2013~2017년 ‘성조숙증(조발사춘기, E301)’질환 환자를 분석한 결과, 진료인원은 5년간 2013년 대비 42.3%(연평균 9.2%) 증가했다.
남아 환자의 연평균 증가율이 12.8%로 여아환자(연평균 8.9%)보다 증가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 동안 건강보험 가입자 중 ‘성조숙증’질환으로 요양기관을 방문한 진료인원은 매년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3년 67,021명에서 2017년 95,401명으로 연평균 9.2%(28,380명) 증가했다.
성별 진료실 인원은 남아는 2013년 5,935명에서 2017년 9,595명으로 연평균 12.8%(3,660명) 증가하였고, 여아는 2013년 61,086명에서 2017년 85,806명으로 연평균 8.9%(24,720명)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최근 남아환자 연평균 증가율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소아청소년과 정인혁 교수는 "최근 우리나라 환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진성 성조숙은 여아에서 급격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최근 발표된 미국 연구와 일부 유럽 연구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이고 있다"며 "원인으로는 산업화에 따른 환경오염, 식생활 변화에 따른 비만 그리고 빠른 사춘기의 가족력 등이 지목되고 있다. 남아의 경우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여아에 비해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데, 역시 환경오염, 비만, 가족력 등이 주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2017년 기준으로 연령대별 진료현황을 살펴보면, ‘성조숙증’질환 전체 진료인원 중 5~9세 이하가 5만 2천명(55.5%)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10~14세 이하가 4만 1천명(43.3%)으로 많아 ‘성조숙증’ 질환의 특성상 대부분의 진료인원이 5~14세 이하 연령대에 요양기관을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료인원은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였는데 여아는 5~9세 이하가 59%(50,615명)로 진료인원이 가장 많았고, 남아는 10~14세 이하가 71.1%(6,821명)로 진료인원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조숙증’ 질환의 전체 진료비를 살펴보면, 2013년 354억 원에서 2017년 499억 원으로 145억 원이 증가하여 연평균 8.9% 증가하였다. 약국과 외래 전체 진료비가 각각 연평균 15.5%, 9%씩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약국 1인당 진료비가 최근 5년간 가장 높은 증가추세(연평균 2.1%)를 보이고 있으며, 입원, 외래 1인당 진료비는 각각 연평균 0.5%, 0.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인혁 교수는 '성조숙증’ 질환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 시 문제점에 대해 “성조숙증 당사자는 조기 골단 융합으로 최종 성인 신장이 작아지며, 신체적 정신적 불안의 문제와 성적 학대의 대상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여아의 경우 초경이 빠를 경우 유방암의 위험이 증가하며 불임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