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회 경구복용하는 인플루엔자 치료제로 지난 2월 일본 후생노동성의 허가를 취득했던 ‘조플루자’(Xofluza: 발록사비르 마복실)가 미국시장의 문을 두드리고 나섰다.
로슈社의 계열사인 제넨테크社는 FDA가 발록사비르 마복실(baloxavir marboxil)의 허가신청을 접수하면서 ‘신속심사’ 대상으로 지정했다고 25일 공표했다.
발록사비르 마복실은 12세 이상의 소아 및 성인들에게서 발생한 합병증 없는(uncomplicated) 급성 인플루엔자를 치료하기 위해 1회 경구복용하는 약물로 허가신청서가 제출됐었다.
‘신속심사’ 대상으로 지정됨에 따라 FDA는 오는 12월 24일까지 승인 여부에 대한 결론을 도출할 수 있을 전망이다.
제넨테크社의 산드라 호닝 최고 의학책임자 겸 글로벌 제품개발 부문 대표는 “최근 인플루엔자 시즌의 위력을 보면 현재 사용되고 있는 치료제들을 상회하는 새로운 대안의 필요성을 방증하고 있다”며 “발록사비르 마복실이 허가를 취득할 경우 거의 20년 만에 새로운 작용기전을 지닌 첫 인플루엔자 치료제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호닝 대표는 뒤이어 “임상시험에서 발록사비르 마복실이 1회 복용으로 인플루엔자 제 증상 지속기간을 크게 단축시켜 준 것으로 입증되었을 뿐 아니라 복용 후 하루 만에 바이러스 흘림(virus shedding) 또한 괄목할 만하게 감소시켰다”며 “심사가 진행되는 동안 FDA와 긴밀히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발록사비르 마복실은 동종계열 최초의 1회 복용용 경구요법제이다. ‘타미플루’(오셀타미비르‘ 내성균주들과 조류 인플루엔자(H7N9, H5N1)을 포함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표적으로 겨냥해 새로운 기전으로 작용하는 약물이다.
현재 사용 중인 다른 항바이러스제들과 달리 발록사비르 마복실은 바이러스 복제에 필수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내부의 캡 의존성(cap-dependent) 핵산분해효소 단백질을 억제하도록 설계됐다.
허가신청은 발록사비르 마복실을 1회 경구복용토록 하거나 플라시보 또는 ‘타미플루’ 75mg을 1일 2회 5일 동안 복용토록 하면서 진행된 임상 3상 ‘CAPSTONE-1 시험’에서 도출된 결과를 근거로 이루어졌다.
임상 2상 플라시보 대조시험에서 도출된 결과도 허가신청 자료에 동봉되어 제출됐다.
‘CAPSTONE-1 시험’은 미국과 일본에서 총 1,436명의 피험자들을 충원한 후 발록사비르 마복실의 효능 및 안전성을 평가하고 플라시보 대조그룹과 비교측정하면서 진행됐다.
이 시험에서 발록사비르 마복실 복용그룹은 인플루엔자 제 증상 지속시간이 1일 이상 크게 단축되어 주목되게 했다. 평균 증상 지속시간이 53.7시간에 그쳐 플라시보 대조그룹의 80.2시간을 훨씬 밑돌았을 정도.
발열 지속시간 또한 하루 가깝게 단축되어 발록사비르 마복실 복용그룹은 평균 24.5시간 발열이 지속된 반면 플라시보 대조그룹은 42.0시간으로 현격한 차이를 드러냈다.
체내 바이러스 흘림시간의 경우에도 발록사비르 마복실 복용그룹은 평균 24.0시간으로 집계되어 플라시보 대조그룹의 96.0시간과는 비교를 불허했다.
발록사비르 마복실 복용그룹을 ‘타미플루’ 대조그룹과 비교평가했을 때는 증상 지속시간과 발열 지속시간이 각각 평균 53.5시간 및 53.8시간, 24.4시간 및 24.0시간으로 괄목할 만한 차이가 눈에 띄지 않았다.
반면 바이러스 흘림시간은 발록사비르 마복실 복용그룹이 24.0시간에 그쳐 ‘타미플루’ 대조그룹의 72.0시간을 크게 하회했다.
발록사비르 마복실을 복용한 그룹에서 가장 빈도높게 수반된 부작용을 보면 설사, 기관지염, 구역 및 부비강염 등이 눈에 띄었지만, 비율이 플라시보 대조그룹을 밑돈 것으로 파악됐다.
01 | 종근당 "위고비 공동 판매한다"…한국노보노... |
02 | 프로젠, 유럽당뇨병학회서 'PG-102' 전임상·... |
03 | 약사회, 대통령실 앞 릴레이 시위 돌입…“한... |
04 | 관세청, K-뷰티 수출 확대 위해 무역 장벽 ... |
05 | 혁신 비만치료제 개발 가속 '한미약품' 신약... |
06 | 미국 하원, 2026 국방수권법안 통과...‘생물... |
07 | 애경산업, 세계화장품학회서 연구성과 2건 발표 |
08 | 앱클론, 차세대 카티 치료제 '네스페셀' 개... |
09 | GC녹십자,독감백신 ‘지씨플루’ 누적 생산량... |
10 | 마티카바이오랩스,사이알바이오와 CDMO 계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