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중증외상환자 이송-진료까지 단계별 과제 개선
병원 전·후·인프라 분야 27개과제…외상 사망률 2025년 20%까지 감소
이승덕 기자 duck4775@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18-03-22 13:40   
정부가 중증외상환자를 이송부터 진료에 이르기까지 3대 분야 27개 과제를 개선한다.

이낙연 국무총리는 22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제31회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이하 현안조정회의)를 주재하고 '중증외상 진료체계 개선대책(복지부 소관)'을 심의‧확정했다.

이번 대책의 주요내용을 보면, 우선 '병원 전 단계'에서는 환자가 적절한 응급처치를 받고 신속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했다. 이를 위해 현장 응급구조사의 외상처치교육을 강화하고 국민이 쉽게 따라할 수 있는 외상처치 매뉴얼을 제작하는 한편, 응급실 분포·도로망 등을 고려한 지역별 이송지침과 이송지도(Trauma map)를 마련하겠다는 것.

또한, 의료·소방·군·경찰 헬기 등 정부부처가 보유하고 있는 헬기의 공동활용을 강화해 신속한 환자이송 기반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병원 단계'에서는 외상센터 진료여건을 개선하고 역량을 강화해 나간다. 외상센터 중환자실 간호인력 확충 등 근무여건을 개선하고, 전담전문의 1인당 인건비 지원액을 20% 확대한다.

또한, 중증외상환자의 특성을 반영한 건강보험 수가 개선을 추진하고, 권역외상센터의 진료 역량을 평가해 운영비를 차등 지원하는 등 질적 수준을 높여 나갈 계획이다.

'인프라' 분야에서는 복지부‧소방청의 응급의료DB 연계를 통해 환자 이송-진료 과정의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시‧도별 응급의료체계평가를도입하여 지역응급의료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킨다.

정부는 이번 대책의 차질없는 추진을 통해 예방 가능한 외상사망률을 2025년까지 현재의 2/3 수준(2015년 30.5%→2025년 20%)으로, 권역외상센터의 경우 절반 수준(2015년 21.4%→2025년 10%)으로 낮추도록 노력할 계획이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