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 순위 30위 상장 제약사 중 삼진제약과 국제약품공업이 매출액의 절반이상을 판관비로 사용한 것으로 분석됐다.
재벌 및 CEO, 기업 경영성과 평가 사이트인 CEO스코어(대표 박주근)가 지난해 3분기 기준 국내 매출 순위 30위 상장 제약사들의 판관비를 조사한 결과 매출액의 평균 31.7%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
판관비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삼진제약으로 1,400억원의 매출 가운데 683억원(48.9%)를 판관비로 사용했다.
국제약품공업이 985억원의 매출 중 475억원(48.2%)을 판관비로 사용해 뒤를 이었다.
일동제약 45.5%, LG생명과학 45%, 동국제약 44.7%, 대원제약 43.5%, 동아제약 42.9%, 종근당(42.2%) 순이었다.
한국유나이티드제약(41.1%), 안국약품(40.8%), 한미약품(40.7%), 동화약품(39.6%), 이연제약(39.4%) 등도 30대 제약사 평균보다 판관비 사용 비중이 높았다.
경동제약, 휴온스, 대웅제약, 영진약품공업, 태평양제약, JW중외제약, 광동제약 등은 매출액의 30% 이상을 판관비로 사용했다.
보령제약, 신풍제약, 한독약품, 유한양행, 제일약품이 20%대를 녹십자, 차바이오앤디오스텍은 10% 대의 판관비를 사용한 것으로 조사됐다.
코오롱생명과학이 1천76억원 매출 가운데 89억원(8.2%)을 판관비로 사용해 가장 낮은 비율을 기록했다. 서흥캅셀과 셀트리온도 9.1%로 판관비 비중이 낮았다.
2010년 11월 리베이트 쌍벌제 시행 당시와 비교했을 때 30대 제약사들의 판관비 비중은 평균 32.9%에서 31.7%로 1.2%포인트 소폭 낮아졌다.
하지만 대웅제약과 국제약품공업은 리베이트 쌍벌제 시행 당시 보다 지난해 3분기 판관비 비중이 29.7%에서 34.4%, 43.7%에서 48.2%로 각각 4.7%포인트와 4.5%포인트 높아졌다.
동국제약, 제일약품, 삼진제약, LG생명과학, 신풍제약, 치바이오앤디오스텍, JW중외제약, 녹십자 등도 판관비 비중이 최고 2.9%포인트 높아졌다.
태평양제약은 같은 기간 판관비 비중이 41.8%에서 31%로 가장 크게 낮아졌다.
01 | 동성제약, 감기약 '디펜콜에이캡슐' 긴급 회... |
02 | 코미팜, 조달청과 60억 규모 동물용백신 공... |
03 | 삼성바이오로직스, 바이오플러스-인터펙스 ... |
04 | 뉴로핏, 미국 현지 법인 설립…"알츠하이머병... |
05 | 알테오젠 "MSD, 키트루다SC 높은 선호도 임... |
06 | 케어젠, 인도 3개 제약사와 ‘코글루타이드·... |
07 | 에스바이오메딕스, 파킨슨병 세포치료제 임... |
08 | 리가켐바이오,HER2-ADC ‘LCB14’ 글로벌 임상... |
09 | 아이엠바이오로직스 "pre-IPO 422억원 투자... |
10 | 대웅제약,경기남부 의료 새 지평..평택성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