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국 내 불용재고 해소한다...대한약사회, 2025 반품사업 착수
"회원 자산 묶이지 않게...협조 제약사 중심 조기 추진"
6월부터 반품 시스템 가동...정산 속도·정산율 개선 방점
전하연 기자 hayeon@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5-05-13 06:00   수정 2025.05.13 06:01
대한약사회 노수진 총무이사.

대한약사회(회장 권영희, 이하 약사회)가 불용재고 의약품 문제 해결을 위해 반품 사업에 본격 돌입했다.

약사 회원의 자산이 장기간 묶이는 현실을 개선하고, 재정적 부담을 줄이기 위해 협조 제약사 중심의 반품 절차 및 정산율 개선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약사회 노수진 총무이사는 12일 전문지 기자단과의 간담회에서 “일각에서 시기상조라는 우려도 있었지만, 불용재고는 약사 회원들의 자산이 묶여 있는 상황인 만큼, 어려움이 있더라도 빠르게 시작하는 것이 맞다고 판단했다”면서 “약학정보원에서 반품 사이트 개발을 완료한 상태로, 6~7월 중 약국 회원들이 반품 신청을 전산 입력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열 계획”이라고 밝혔다.

특히 이번 사업은 제약사의 협조를 전제로 하는 개봉 의약품 반품에 초점을 맞췄으며, 유효기간과 무관하게 처방 중단 등으로 조제할 수 없는 개봉 의약품(정제, 캡슐, 생물학적제제 등)을 대상으로 한다. 단, 미개봉 의약품은 별도 지침을 따르며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은 제외된다.

반품은 기본적으로 약국의 원 거래처를 통해 이뤄지며, 직거래는 제약사가 직접 수거·정산, 도매거래는 판매의 역순을 원칙으로 한다. 거래처가 폐업했거나 확인이 어려운 경우, 지부가 정한 반품협력도매를 통해 반품이 진행된다.

약사회는 이달까지 전국 지부와 제약사, 유통협회에 협조 공문을 발송과 동시에 지부별 협의체 구성 및 협력도매 선정을 완료하고, 6월과 7월 회원 전산 입력 후, 8월부터는 유통업체 수거를 시작할 예정이다. 또 수거 기간, 비협조 제약사와는 간담회를 실시하고 12월까지 정산을 마무리할 수 있도록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노 총무이사는 “서울, 경기 등은 유통업체가 많아 주력 도매를 선정하기 어려운 반면, 일부 지역은 지부 주도로 효율적인 반품이 이뤄지는 사례도 있어 지역별 여건을 반영할 것”이라며 “이전 집행부 사업의 경험을 바탕으로 분회별 주력 도매 설정 등 현실적인 대안을 마련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협조 제약사 수를 늘리는 것보다, 현재 협조 중인 제약사들과의 정산 시기 단축과 정산율 제고에 더 중점을 두고 있다”며 “회원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약국위원회가 집중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비협조 제약사 40곳의 반품 금액은 모두 11억 원 규모로 전체 반품 총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 않다는 게 노 총무이사의 설명이다.

약사회가 참고한 지난 2022~2023년 반품사업 사례에 따르면, 당시 약 1만2천 개 약국이 정산에 참여했다. 약학정보원 사이트에 회원들이 입력한 금액은 274억 원이며, 실제 반품 금액은 360억 원으로 집계됐고, 이 중 82%가 정산됐다.

한편 약사회는 지난달 서울지부(4/9), 경기지부(4/24)와 간담회를 진행한 데 이어, 오는 15일엔 전국 16개 시도지부 약국 임원 연석회의를 열고 사업 실무를 논의할 예정이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