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보 노디스크社의 당뇨병 치료제 ‘오젬픽’(세마글루타이드 1mg 주사제)에 신장병 적응증이 추가될 수 있을 전망이다.
2형 당뇨병과 만성 신장병을 동반한 성인환자들을 대상으로 ‘오젬픽’ 1mg을 주 1회 투여하면서 효능을 평가한 임상 3b상 ‘FLOW 시험’의 전체적인 결과가 공개되었기 때문.
시험결과는 21~24일 미국 플로리다州 올랜도에서 열린 미국 당뇨협회(ADA) 제 84차 사이언티픽 세션에서 발표됐다.
이 시험은 2형 당뇨병과 만성 신장병을 동반한 총 3,533명의 환자들을 피험자로 충원한 가운데 이중맹검법, 피험자 무작위 분류, 플라시보 대조시험으로 진행됐다.
시험을 진행한 결과 ‘오젬픽’ 1mg을 주 1회 투여한 피험자 그룹의 경우 신장병 진행 및 심혈관계‧신장계 원인 사망률이 플라시보 대조그룹에 비해 2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일차적인 시험목표가 충족됐다.
‘오젬픽’을 투여한 피험자 그룹에서 331명에서 신장병이 진행되었거나, 심혈관계‧신장계 원인으로 인해 사망한 것으로 집계된 반면 플라시보 대조그룹에서는 이 수치가 410명에 달했던 것.
일차적 시험목표 가운데는 장기적인 투석치료의 개시, 신장 이식수술 또는 28일 이상 사구체 여과율의 15mL/분/1.73m² 미만 감소, 착수시점과 비교한 사구체 여과율의 50% 이상 지속적인 감소 또는 심혈관계‧신장계 원인으로 인한 사망 등의 신부전 관련사례들이 포함됐다.
노보 노디스크社의 안나 윈들 임상개발‧의학업무‧법무 담당부회장은 “2형 당뇨병 환자들에 대한 치료결과를 개선하기 위해 만성 신장병과 같은 중증 합병증을 치료하는 일이 중요해 보인다”면서 “임상 3b상 ‘FLOW 시험’에서 도출된 결과는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GLP-1) 치료대안들이 환자들에게 나타낼 수 있는 의미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자 하고 있는 상황에서 중요한 자료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윈들 부회장은 “우리가 보유한 심도깊은 심대사계 분야의 전문성을 이용해 중증 만성질환 환자들에게 세마글루타이드 제제가 나타내는 힘(strength)과 다용성을 뒷받침하는 강력한 임상적 증거자료를 지속적으로 확보해 나가고 있는 점에 대해 자부심을 느낀다”고 덧붙이기도 했다.
실제로 이번에 공개된 시험결과를 추가로 살펴보면 ‘오젬픽’ 1mg은 전체적인 이차적 시험목표를 적용해 평가했을 때 플라시보 대조그룹에 비해 우위가 입증됐다.
예를 들면 연평균 사구체 여과율 기울기(slope)가 연간 1.16ml/분/1.73m² 괄목할 만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난 것.
‘오젬픽’ 1mg을 투여한 피험자 그룹에서는 연간 2.19ml/분/1.73m² 감소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플라시보 대조그룹에서는 3.36ml/분/1.73m² 감소했다는 의미이다.
주요 심혈관계 제 증상 발생 위험성을 보더라도 ‘오젬픽’ 1mg을 투여한 피험자 그룹에서는 212명에서 발생한 것으로 집계되어 플라시보 대조그룹의 254명에 비해 괄목할 만하게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총 사망률을 경우에도 ‘오젬픽’ 1mg을 투여한 피험자 그룹에서는 227명이 사망한 것으로 나타나 플라시보 대조그룹의 279명을 괄목할 만하게 하회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찬가지로 중증 부작용이 보고된 비율을 보면 ‘오젬픽’ 1mg을 투여한 피험자 그룹에서 49.6%(877명)로 나타나 플라시보 대조그룹의 53.8%(950명)를 하회했다.
사전에 정한 요주의(special interest) 부작용으로 피험자들의 5% 이상에서 수반된 사례들을 보면 당뇨병성 망막병증, ‘코로나19’ 관련 장애, 중증 심혈관계 장애, 심부전, 급성 신부전, 악성종양 및 중증 위장관계 장애 등이 관찰됐다.
다만 투여중단으로 이어진 부작용을 보면 플라시보 대조그룹에서 11.9%(211명)로 집계되어 ‘오젬픽’ 1mg 투여그룹의 13.2%(233명)를 밑돌았다.
약물투여의 중단은 대체로 위장관계 장애로 인해 결정되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노보 노디스크 측은 평균 3.4년에 걸친 추적조사를 진행한 결과 사전에 정한 효능 기준이 충족되었다는 사외자료모니터링위원회(IDMC)의 권고를 근거로 ‘FLOW 시험’을 조기에 중단했다.
‘FLOW 시험’에서 확보된 자료를 근거로 노보 노디스크 측은 ‘오젬픽’의 적응증 추가를 신청했는데, FDA에서는 이를 접수하고 본격적인 심사절차를 개시했다.
적응증 추가 유무에 대한 FDA의 결정은 내년 1월경 도출될 수 있을 전망이다.
‘FLOW 시험’의결과는 앞서 지난 5월 23~26일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렸던 제 61차 유럽 신장협회(ERA) 학술회의에서 발표되었고, 동시에 의학 학술지 ‘뉴 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슨’에 게재됐다.
01 | 대한약사회, 유니온약품 불법 리베이트 사건... |
02 | 삼천당제약, 상반기 매출 성장에도 영업손실... |
03 | "비임상시험, 단순 자료 아닌 전략적 자산…... |
04 | "심평원, 성인 신경섬유종 환자 외면…소아 ... |
05 |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센터장, 성비위 ... |
06 | JW중외제약,상반기 매출 6.7%-영업익 24%↑..... |
07 | 동아ST, 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와 신약... |
08 | 미국,EU산 의약품 관세 상한선 15% 제한..... |
09 | 큐라클-맵틱스, Tie2 항체 MT-101… 신장질환... |
10 | 딥슨바이오, 초음파 자극기 '뉴클레어' 미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