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젬픽’(세마글루타이드), ‘트루리시티’(둘라글루타이드) 및 기타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GLP-1) 수용체 작용제들이 최근들어 2형 당뇨병 치료제와 비만 치료제로 각광받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미국 마취과의사학회(ASA)가 예약된 수술을 앞두고 있는 성인 또는 소아환자들의 경우 마취와 관련한 합병증 위험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GLP-1 수용체 작용제들의 복용 또는 투여를 유예해야 할 것이라고 지난달 29일 권고하고 나서 주목되고 있다.
GLP-1 수용체 작용제들은 FDA에 의해 2형 당뇨병 치료와 심혈관계 질환 위험성 감소 용도로 허가를 취득해 사용되고 있는 약물들이다.
또한 GLP-1 수용체 작용제들은 위 내용물 배출 지연, 허기 및 음식물 섭취량 감소 등의 작용에 힘입어 체중감소제로도 대중적인 관심도가 부쩍 높아진 추세이다.
미국 마취과의사학회의 마이클 W. 챔포 회장은 “현재 GLP-1 수용체 작용제들이 수술을 받은 환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이나 마취와 상호작용 여부에 대한 과학적인 자료가 부족한 형편”이라면서도 “위 내용물 배출 지연작용으로 인해 전신마취 또는 깊은 진정을 유도한 시간 동안 기도‧폐 내부의 음식물 역류 또는 흡인 위험성의 증가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일회성 보고사례들이 접수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같은 합병증은 중증으로 수반될 수 있는 만큼 응급수술이 아닌 예약수술을 앞두고 있을 경우 GLP-1 수용체 작용제들의 사용을 중단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는 지침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라고 챔포 회장은 배경을 설명했다.
그는 뒤이어 이 같은 환자 안전성 지침을 마련해 준 미국 마취과의사학회 진료지침 위원회의 카렌 도미노 위원장과 기리쉬 조쉬 부위원장에게 감사의 뜻을 전하고 싶다고 덧붙였다.
이날 미국 마취과의사학회에 따르면 최초로 보고된 구역, 구토 등 위장관계 부작용 사례들의 경우 수술을 앞두고 GLP-1 수용체 작용제들을 투여받은 관계로 위내(胃內) 잔류물이 증가했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아환자들에게서 위장관계 부작용이 수반된 경우를 보면 성인환자들에게서 나타난 비율과 대동소이했다.
미국 마취과의사학회 수술 前 금식 태스크포스는 위장관계 부작용들이 예약수술을 앞두고 당뇨병이나 비만 치료 목적으로 GLP-1 수용체 작용제들을 투여받았기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GLP-1 수용체 작용제들과 마취의 상관성에 대해 보다 많은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이날 미국 마취과의사학회는 수술을 앞두고 있을 경우 매일 또는 매주 투여받았던 GLP-1 수용체 작용제들의 투여(또는 복용)를 삼가줄 것을 요망했다.
당뇨병 관리와 저혈당증 예방을 위해 GLP-1 수용체 작용제를 투여받고 있는 환자들의 경우 내분비 내과 전문의에게 상담을 받도록 권고했다.
이와 함께 수술 당일에 중증 구역, 구토, 구역질, 복부팽만감 또는 복통 등의 위장관계 증상들이 나타났을 때는 수술 연기를 고려하고, 역류 및 흡인 위험성에 대해 의사와 상의할 것을 당부했다.
설령 위장관계 제 증상이 수반되지 않았고, GLP-1 수용체 작용제들의 투여를 유보하지 않았을 경우라도 초음파를 사용해 위 내용물을 조사하는 등의 예방조치가 강구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01 | 엑셀세라퓨틱스, 일본 펩티그로스와 ‘합성 ... |
02 | 한의협 “자보 경상환자 치료 8주 제한, 근거... |
03 | 인벤티지랩, 장기지속형 약물중독치료제 임... |
04 | 셀트리온, EADV 2025서 ‘옴리클로’ 등 신규 ... |
05 | 툴젠, 정부 지원 148억원 투입 ‘한국형 ARPA... |
06 | 큐로셀, 바이오센추리 CEO와 글로벌 CAR-T ... |
07 | 큐라클, 보령과 당뇨병성 신증 치료제 ‘CU01... |
08 | 로킷헬스케어, 글로벌 AI 연골 재생 임상 9... |
09 | 한국콜마, 아마존과 또 손잡고 K-뷰티 수출 ... |
10 | 한국오므론헬스케어, 콘도 카즈히데 대표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