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크&컴퍼니社는 항 프로그램 세포사멸 단백질-1(PD-1) 치료제 ‘키트루다’(펨브롤리주맙)가 FDA로부터 진행성 자궁내막암종 적응증 추가를 승인받았다고 21일 공표했다.
이번에 추가된 ‘키트루다’의 새로운 적응증은 앞서 전신요법제를 사용해 치료를 진행한 후에도 종양이 악화되었고, 근치수술 또는 방사선요법이 적합하지 않은 미소부수체(微小附隨體) 고도 불안정성(MSI-H) 또는 복제오류 복구 결함(pMMR) 진행성 자궁내막암종 환자들을 치료하기 위한 단독요법제 용도이다.
FDA는 ‘KEYNOTE-158 시험’에 참여한 코호트 D 그룹 및 K 그룹에서 확보된 새로운 자료를 근거로 ‘키트루다’의 적응증 추가를 승인한 것이다.
새로운 자료에 따르면 ‘키트루다’를 투여받은 환자그룹의 경우 평균 16.0개월에 걸친 추적조사 기간 동안 완전반응률을 나타낸 12%와 부분반응률을 나타낸 33%를 포함해 총 46%의 객관적 반응률을 보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처럼 반응을 나타낸 환자들 가운데 68%는 반응이 12개월 이상, 44%는 24개월 이상 지속적으로 나타났음이 눈에 띄었다.
평균 반응기간은 분석에 착수할 시점까지 도달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오하이오주립대학 메디컬센터 및 종합암연구소의 데이비드 오말리 박사(부인과암)는 “임상 2상 ‘KEYNOTE-158 시험’에서 도출된 새로운 자료를 보면 ‘키트루다’를 사용해 치료를 진행한 미소부수체 고도 불안정성 또는 복제오류 복구 결함 동반 일부 진행성 자궁내막암종 환자들에게서 46%에 달하는 객관적 반응률을 내보였다”면서 “이 시험에서 관찰된 객관적 반응률과 반응기간을 보면 ‘키트루다’가 진행성 자궁내막암종 환자들을 위한 치료대안으로 상당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임을 방증하는 것”이라는 말로 의의를 강조했다.
머크&컴퍼니 측에 따르면 ‘키트루다’를 사용해 치료를 진행할 때 중증 또는 치명적일 수 있는 면역 매개성 부작용이 각종 장기와 조직 내부에서 수반될 수 있는 데다 한곳 이상의 체내기관에 동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키트루다’를 사용해 치료를 진행 중이거나 진행한 후 폐렴, 대장염, 간염, 내분비병증, 신장염, 피부반응, 고형장기 이식수술 거부반응 및 동종이계 조혈모세포 이식수술 합병증 등의 면역 매개성 부작용이 언제든 수반될 수 있다.
여기서 리스트화한 주요 면역 매개성 부작용들이 발생 가능한 전체 중증 및 치명적인 면역 매개성 부작용 전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이 같은 면역 매개성 부작용들의 발생을 조기에 확인하고 관리하는 일은 ‘키트루다’의 안전한 사용을 위해 필수적인 부분이다.
수반된 부작용의 중증도에 따라 ‘키트루다’는 사용을 보류하거나 영구적으로 중단해야 할 수 있으며, 적절할 경우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투여할 수 있다.
또한 ‘키트루다’는 중증 또는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주사 관련반응이 수반될 수 있다.
‘키트루다’의 작용기전상 임신부에게 투여했을 경우 태아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머크 리서치 래보라토리스社의 스캇 에빙하우스 임상연구 담당부사장은 “FDA의 이번 결정이 진행성 자궁내막암종 환자들을 위한 희소식이라 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우리는 진행성 자궁내막암종 환자들을 대상으로 ‘키트루다’ 단독요법 또는 병용요법을 두가지 적응증에 사용하는 치료대안으로 공급하면서 괄목할 만한 진전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눈으로 목격해 오고 있다”고 말했다.
머크&컴퍼니는 보유한 치료제 포트폴리오를 통해 부인과암 및 유방암 분야에서 유의미한 진일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변함없이 사세를 집중하고 있다고 덧붙이기도 했다.
한편 ‘키트루다’가 자궁내막암 적응증을 승인받은 것은 이번이 두 번째이다.
앞서 ‘키트루다’는 지난해 7월 전신요법제를 사용해 치료를 진행한 후에도 종양이 진행되었고, 근치수술 또는 방사선요법이 적합하지 않으면서 미소부수체 고도 불안정성 또는 복제오류 복구 결함을 나타내지 않는 진행성 자궁내막암 환자들을 치료하기 위해 경구용 다중수용체 티로신 인산화효소 저해제 ‘렌비마’(렌바티닙)와 병용하는 요법이 FDA의 허가를 취득한 바 있다.
머크&컴퍼니 측은 ‘키트루다’와 기타 개발이 진행 중이거나 이미 허가를 취득한 치료제들을 사용한 가운데 광범위한 임상개발 프로그램을 지속하면서 부인과암 및 유방암 포트폴리오를 빠르게 확대시켜 나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