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환자식 글로벌 마켓 2027년 165억弗 도달
연평균 5.8% 성장 전망..美 전체 인구 10.5% 당뇨환자
이덕규 기자 abcd@yakup.com 뉴스 뷰 페이지 검색 버튼
입력 2021-12-17 17:26   수정 2021.12.19 21:44

당뇨환자식(diabetic foods) 글로벌 마켓이 연평균 5.8% 성장을 거듭해 오는 2027년이면 165억 달러 규모에 도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됐다.

미국 워싱턴주 시애틀에 소재한 시장조사‧컨설팅기관 코히어런트마켓 인사이트(Coherent Market Insight)는 15일 공개한 ‘당뇨환자식 분석: 당뇨환자식 시장규모, 트렌드, 마켓셰어, 통찰 및 오는 2027년까지 전망’ 보고서에서 이 같이 전망했다.

이와 관련, 당뇨환자식은 혈당 수치가 높게 나타나는 당뇨병 환자들을 위해 개발된 특수 식이요법(special diet)을 말하는 개념이다.

당뇨환자식은 당뇨병에 수반되는 증상들을 최소화하고, 장기간에 걸친 혈당 수치의 상승으로 인해 수반될 수 있는 합병증을 감소시키는 데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

지방, 탄수화물 및 염분 함량이 매우 낮다는 점은 당뇨환자식에서 눈에 띄는 특징들이다.

보고서는 당뇨병 환자 수가 늘어남에 따라 당뇨환자식 시장의 성장을 가속화시키고 있다고 언급했다.

소아 및 청소년층의 당뇨병에 대한 인식제고와 운동부족 또한 당뇨환자식 시장이 확대되는 데 힘을 보태고 있다고 풀이했다.

게다가 소비자들 사이에서도 당뇨병 발병을 예방하기 위한 조치들을 이행할 때 기대할 수 있는 유익성에 대한 인식도가 부쩍 높아지고 있는 추세라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식품기업들이 맛과 식감, 가격 등이 다양한 소비자 니즈를 충족할 수 있는 다채로운 당뇨환자식을 개발해 선보이고 있다고 보고서는 덧붙였다.

보고서에 따르면 당뇨병에 대한 인식 제고와 당뇨환자식의 접근성이 시장이 확대되는 데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스파탐이나 아세설팜 칼륨(acesulfame potassium)과 같은 인공감미료의 사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 또한 당뇨환자식 시장이 볼륨을 확대해 나가는 데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가처분 소득수준의 향상과 발빠른 도시화 추세 또한 한몫을 거들고 있는 요인들로 언급됐다.

보고서는 당뇨병 유병률의 증가가 당뇨환자식 시장이 확대되는 데 추진력을 제공하고 있다면서 미국 당뇨협회(ADA)의 통계치를 인용해 지난 2018년 현재 미국 전체 인구의 10.5%에 해당하는 3,420만명이 당뇨병 환자들로 추정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중에는 18만7,000여명의 소아 및 청소년을 비롯해 160만명 가량의 1형 당뇨병 환자들이 포함되어 있다며 주의를 환기시켰다.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의 26.8%에 달하는 1,430만명에 달한다는 점도 당뇨환자식 시장이 성장하는 데 긍정적인 요인이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풀이했다.

뒤이어 보고서는 당뇨환자식 업체들이 저지방 유제품에서부터 젤리, 아이스크림, 저칼로리 대용설탕, 당뇨환자용 제빵류, 음료 및 스낵 등을 앞다퉈 선보이면서 새로운 기회를 포착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연소자층의 운동부족으로 인한 소아 당뇨병 유병률 증가 추세와 바쁜 라이프스타일, 고령층 인구의 확대 등도 당뇨환자식 시장이 확대되고 있는 현실에서 빼놓을 수 없는 부분들로 언급됐다.

바꿔 말하면 당뇨환자식 시장이 그 만큼 거대한(enormous) 기회를 내포하고 있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눈을 돌려 주요 식품기업들의 연구‧개발 투자확대 추세에 주목했다.

한 예로 지난해 6월 미국 의료기기업체 메드트로닉(Medtronmic)이 투자회사 블랙스톤 라이프 사이언스로부터 3억3,700만 달러를 투자받아 당뇨병 관련 연구에 활발하게 나서고 있다고 보고서는 상기시켰다.

최근 시장에서 눈에 띄는 트렌드로 보고서는 무가당(sugar-free) 및 저칼로리 음료 소비의 증가가 북미‧유럽지역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 현실을 꼽았다.

소비자들이 앞다퉈 건강한 라이프스타일로 택하고 나서면서 무가랑‧저칼로리 식품들이 각광받고 있다는 것이다.

이밖에도 보고서는 중국, 인도 및 브라질 등의 신흥경제권 식품업체들이 당뇨환자식 시장이 성장하는 데 가속페달을 밟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들 국가에서 인구의 고령화 추세가 나타남에 따라 기능성 식품 수요가 고조되고 있고, 자연히 당뇨환자식 시장이 성장하는 데도 훈풍을 불어넣어 주고 있다는 것이다.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