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위스의 글로벌 식품기업 네슬레와 미국 매사추세츠州 캠브리지에 소재한 미생물군집(microbiome) 치료제 개발 전문 생명공학기업 세레스 테라퓨틱스(Seres Therapeutics)는 경구용 미생물군집 치료제로 개발이 진행 중인 ‘SER-109’를 공동발매키로 합의했다고 1일 공표했다.
‘SER-109’는 미국 및 캐나다에서 재발성 클로스트리디오데스 디피실리균(Clostridioides difficile) 감염증 치료제 개발이 진행 중인 미생물군집 치료제이다.
허가를 취득할 경우 ‘SER-109’는 FDA로부터 발매를 승인받은 최초의 미생물군집 치료제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전망이다.
이른바 ‘슈퍼 박테리아’의 일종으로 알려진 클리스트리디오데스 디피실리균은 원래 장염(腸炎)을 유발하는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리균(Clostridium difficile)으로 불렸지만, 연구가 진행될수록 다른 클로스트리디움균들과 차이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변경된 명칭이다.
양사간 합의에 따라 네슬레의 헬스 사이언스 사업부문이 미국 캘리포니아주 브리즈번에 소재한 식품 알레르기 치료제 개발 전문 제약기업이자 그룹 내 계열사인 에이뮨 테라퓨틱스(Aimmune Therapeutics)를 통해 발매를 주도하는 역할을 맡기로 했다.
세레스 테라퓨틱스 측은 합의에 따라 1억7,500만 달러의 계약성사금을 받기로 했으며, ‘SER-109’가 허가를 취득했을 때 1억2,500만 달러를 추가로 받기로 했다.
이와 함께 ‘SER-109’가 발매되어 매출 목표액에 도달했을 때 최대 총 2억2,500만 달러를 추가로 건네받을 수 있는 권한을 보장받았다.
그 대신 미국에서 개발과 발매 이전단계까지 진행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은 세레스 테라퓨틱스 측이 부담키로 했다.
제품발매에 따른 이익이 발생했을 때는 양사가 50대 50으로 나눠 갖기로 했다.
미국 및 캐나다에서 ‘SER-109’의 공동개발에 합의한 것은 네슬레의 헬스 사이언스 부문과 세레스 테라퓨틱스 측이 이미 구축한 전략적 제휴관계를 한층 더 확대키로 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네슬레 헬스 사이언스 사업부문은 미국과 캐나다 이외의 세계 각국에서 ‘SER-109’을 클로스트리디오데스 디피실리균 감염증 및 염증성 대장질환 치료제로 발매할 권한을 보유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번에 추가합의가 도출됨에 따라 네슬레 헬스 사이언스 사업부문은 명실공히 ‘SER-109’와 관련한 세레스 테라퓨틱스의 글로벌 협력사로 제휴관계의 폭을 한층 더 심화할 수 있게 됐다.
이와 관련, 클로스트리디오데스 디피실리균 감염증은 미국에서 원내감염을 유발하는 주요한 원인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증상이 매우 심한 설사와 관련이 있는데, 매년 20,000명 이상의 미국민들의 삶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형편이다.
‘SER-109’는 클로스트리디오데스 디피실리균의 생명주기와 증상이 발생하는 과정에서 조정자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피르미큐테스(Firmicutes)의 포자 고순도 추출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SER-109’ 내부의 세균 결집체(bacterial consortium)가 장내(腸內)의 미생물군집에서 빠르게 번식해 임상적 반응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조성물상의 변화와 기능적인 변화를 유도하게 된다.
세레스 테라퓨틱스의 에릭 샤프 대표는 “네슬레 헬스 사이언스 사업부문이 재발성 클로스트리디오데스 디피실리균 감염증 환자들을 위한 새로운 치료대안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대단히 훌륭한(terrific) 제휴선이라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지난 수 년 동안 ‘SER-109’가 충족되지 못한 의료상의 니즈에 부응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고 말했다.
네슬레 헬스 사이언스 사업부문의 그렉 베하르 대표는 “재발성 클로스트리디오데스 디피실리균 감염증 환자들을 위해 ‘SER-109’의 개발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이처럼 중요한 시기에 세레스 테라퓨틱스 측과 협력의 폭을 확대하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며 “네슬레 헬스 사이언스 사업부문은 제약 부문 계열사인 에이뮨 테라퓨틱스를 통해 장(腸) 건강, 식품 알레르기 및 대사계 건강 등 발빠른 개발이 진행 중인 영역들에 집중하고 있는 추세”라고 밝혔다.
에이뮨 테라퓨틱스가 보유한 통합적인 영업 인프라와 역량을 이용해 이처럼 중요한 약물이 허가를 취득할 경우 신속히 발매에 들어갈 수 있도록 힘쓸 것이라고 덧붙이기도 했다.
01 | 2025 뷰티썸 인디아, 뉴델리서 성대한 개막 |
02 | 넥스트바이오메디컬, 'Nexsphere-F' 미국 FD... |
03 | '2025 KDDF 사이언스 컨퍼런스' 개최…혁신기... |
04 | 현대바이오,일본 JBP와 원숭이 두창 치료제 ... |
05 | 오가노이드사이언스, 동남아 재생의료 진출 ... |
06 | 차 의과학대,제 14대 총장 서영거 교수 선임 |
07 | ‘넥스트 유니콘은 AI’... 투자 시장 이끄는... |
08 | “엘앤씨바이오, 1조 CAPA 기반 중국 시장 ... |
09 | 로킷제노믹스, ‘유전체 미래기술 심포지엄’... |
10 | 신신파스 아렉스, 2025 올해의 브랜드 대상…... |